-
유영옥2022고전번역연구Historically, Korean annotation of Confucian classics developed from the era of 'Gugeyol' to that of 'Seokeui', and finally ended up in Gyojeon...
-
심소희2022中國語文學誌"Hunminjeongeum" and "Hangul" are one writing system, but they have been invented and developed from different backgrounds. "Hunminjeongeum" is...
-
서정화2021古典文學硏究한문산문사에서 고려 중기는 형식적으로 騈體에서 散體로 완전하게 전환되고, 공용적 실용문을 탈피하여 개인성이 발현되는 산문이 창작되어 문학적 전환이 이루어진 시기이다. 하지만 이제현이 고문을 창도했다는 학계의 통설 때문에 고려 중기는 고문에 성취를 보지 못한 ‘적막한 시기’로 규정되고 있다. 본고는 이를 반박하기 위해 이제현이 고문을 창도했을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검토하고, 고려 중기의 한문산문 창...
-
박진경2021인문과학연구조선시대 동경(이하 朝鮮鏡)의 세부 문양과 의미, 형태를 살피고, 조선경에 반영된 새로운 특징과 경향을 고찰한 논문이다. 연구대상으로 삼은 동경들은 지금까지 고려시대로 막연하게 인식해왔던 것들로 본 연구를 통해 동경의 제작 시기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피고, 조선시대 제작 및 소비되었던 조선경의 문양과 형태적 특징을 통해 국내 동경의 전개 양상과 흐름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고려말 이후 주자를 중심으...
-
이경룡2020선도문화이승휴는 고려말기 문인이며 관원이었으며 『동안거사집』을 남겼다. 본 논문은 문집에 실린 그의 학술사상과 원나라 중국의 이해를 살펴보았다. 젊었을 때 유불도 삼교합일에 따라 삶과 학술을 설계하고 훌륭한 문인이 되려고 하였다. 삼교합일은 불교의 마음수양, 도교의 양생술, 유학의 경세 각기 다른 역할을 병행한다는 것이다. 경세는 현대의 사회과학에 해당하며 마음수양과 양생술은 인문학과 의학에 가깝다. 따...
-
이광우2020한국서원학보From the Sahak institutions existed in the traditional era, the most complete system could be found in Seowon that emerged in the mid-16th cent...
-
河政承2020東方漢文學우리나라는 이미 삼국시대부터 중국에서 儒學과 漢文이 수입되어 학문과 문학이 발달하였다. 고려조에 들어와서는 과거제의 시행과 학교 교육의 발달, 학자 간 교유와 서적의 수입 등 宋나라와의 활발한 교류 등으로 학문과 문학은 더욱 꽃을 피워 수많은 학자와 문인을 배출하게 되었다. 이 시대의 학문은 주로 孔孟을 근간으로 하는 儒學이 주류를 이루었고, 고려후기에 이르면 元나라로부터 性理學이 수입되었다. 본...
-
우지연2020陽明學풍속화란 선사시대 벽화에서 시작되어 祈願의 의미로부터 일상적인 삶의 모습, 그리고 시대상과 인물의 성격 및 계층 간의 모습 등을 보여주며 당시의 다양한 생활상들을 기록하며 발전해온 그림이다. 따라서 ‘풍속화’는 기록물적인 의미에서 당시의 생활상을 확인해볼 수 있는 역사적 가치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우리나라 풍속화는 삼국시대와 고려시대를 거쳐 발전을 거듭하며 ‘우리 것’의 독창적이고 개성...
-
손흥철2020율곡학연구In this paper, I wrote the origin and its characteristics of “the Neo-Confucianism politics” and “the view of Advance and Retreat” in Sim Eon-k...
-
金昌祜2019東方漢文學이 글은 17세기에 호남지역에서 활동한 松巖 奇挻翼(1627~1690)의 삶과 문학세계를 고찰하는 데에 목표를 둔다. 학문적 지형도를 볼 때, 기정익은 우암 송시열의 학단에 속한다. 그는 호남 사림과의 활발한 토론을 통해 돌출된 문제나 미해결 과제를 우암에게 질의하면서 자신의 견해를 정립해 나갔다. 나중에 길을 달리하였지만, 윤증과도 서신 왕래를 통해 학문적 질의와 토론을 이어나갔다. 그의 학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