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세정2015이 논문은 1920~30년대 근대시에 나타난 예이츠의 수용 양상을 각 시기를 대표하는 김억, 김소월, 김영랑, 백석 시를 중심으로 고찰하면서, 그것이 지니는 시사적(詩史的) 의미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선과 같은 식민지 약소국 출신인 예이츠가 보여준 세계적 위상과 식민지 아일랜드의 시인으로서 보여준 시적 노정은 근대 시인들이 예이츠를 수용하는 주요한 내적 동기가 되었다. 식민지의 ...
-
유인실2014이 논문의 목적은 백석 시에 나타난 로컬리티(locality)에 주목하여, 백석 시인의 로컬에 대한 의식이 시 속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시인의 시의식과 어떤 연관성을 가지는가를 고찰하는 데 있다. 여기에서 ‘로컬리티((locality)’는 백석이 태어나고 성장한 서북 지역의 지역적 특수성과 일제 강점기 식민 정책 속에서 조선의 지식인으로서 문학을 구상해야 했던 백석의 시의식을 구...
-
김응교2013한민족문화연구환상에 생명을 주는 것은 망설임이다. 이 글에서 필자는 백석이 어떠한 방식으로 우리에게 시적 환상을 제공하고 있는지 분석해 보려 했다. 이제백석의 일본기행시가 갖고 있는 환상성을 정리해 보자. 첫째, 세 편 모두 이즈 반도를 배경으로 썼다. 이즈 반도는 백석이 주거하던 기치죠오지나 아오야마 가쿠인이 있는 시부야에서 교통편이 편리한 관광지다. 보다 중요한 것은 이즈 반도라는 낯선 땅의 지명地名이 갖...
-
이근화2010어문논집식민지 조선의 지식인들은 국권을 상실한 상황 속에서 조선의 역사적 가능성을 확보해 줄 새로운 시각과 방향을 모색하였다. 북방에 펼쳐진 광대한 영토는 민 .족적 감정을 불러일으키고 조선 사회의 가능성을 열어줄 대안적 공간으로 주목 받았다. `북방` 은 동양과 서양이라는 차이를 인식하지 않아도 되는 공간이었다. 또한 망국의 현실을 가졌다 주었던 조선 왕조 대신에 고구려와 발해의 광대한 영토에 대한 상...
-
류지연20021930년대 후반기의 한국 시는 주조모색의 전형기적 혼란 속에서 제기된 문제를 해결해야 할 것과 앞으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해야 할 것 등 이중의 부담을 안고 있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백석은 1935년 〈조선일보〉에 「정주성」을 발표하면서 등장하여 한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