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옥경2022美術史論壇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production case of ‘Chulcheodo’ during the Joseon period and discuss the visual characteristics an...
-
이승진2021일본학이 연구는 1945년 8월 15일부터 한일협정이 체결된 1965년까지의 시기를 대상으로 삼아, 일본 신문의 재일조선인 관련 기사 자료에 주목하여 그 전체상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전후 일본의 신문 미디어는 다양한 이념 지형과 한반도의 분단이라는 역사적 사건, 그리고 GHQ의 검열과 정치 환경의 변화 같은 요인들에 영향을 받으면서 출발한다. 일본의 언론 자유를 회복한다는 명분 아래 연합국사령부가 ...
-
김도경2021한국문예비평연구이 논문에서는 1923년의 『新潮』 합평회와 1925년의 『조선문단』 합평회에서 제기되었으나 진지하게 검토되지 못했던 주제에 주목하여 한일 양국 문단에서 합평회라는 사건이 어떤 의미였는지, 어떤 효과를 발생시켰는지를 고찰하였다. 『신조』 합평회에서는 문예의 새로운 역할, 문예와 생활의 관계에 대한 질문이 합평회의 안팎에서 제기되었으나, 제대로 논의되지 못한 채정리되어 버렸다. 논자들은 훼손되지 않...
-
유정선2020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This paper analyzed the multi-layered desires of women projected on the hwajeonga of the 1920s and 30s. This started from the problem of focusi...
-
권선정2020문화 역사 지리This study explored common tendencies in the spatial composition of Eupchi, the regional administrative center of the Joseon Dynasty, centering...
-
권선정2018지명학본 연구에서는 근대 이전 정상적으로 공유되어 온 풍수의 재현물로서 고지도에 등장하는 풍수 지명을 통해 전통지리 풍수의 특징적 모습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고지도가 집중적으로 제작되는 조선후기는 풍수 역사상 ‘명당풍수(明堂風水)’가 전국적으로 정상화되는 ...
-
주재원2018지역과 세계1990년에서 1994년까지 연 평균 8.5명에 불과했던 대한민국 이주 북한이탈주민들의 수는 북한의 경제난과 기근이 겹친 1990년대 중반 이후 급격히 증가해 왔다. 특히 2006년부터 2011년까지는 매년 2000명 이상의 북한이탈주민들이 유입되어 한국 사회 내 중요한 이슈들 중 하나로 부각되었으나 이들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극히 낮은 것이 현실이다. 북한이탈주민들은 한국인들과 동질적 민족정체성...
-
엄인경2016비교일본학이 논문은 1935년 간행된 한반도 최대의 가집 『조선풍토가집』에서 식민지 ‘조선’의 수도 경성이 어떻게 ‘조선색’의 풍토로 위치하고 표상되며 역사 기억을 어떠한 방식으로 내재하는지 고찰한 것이다. 일본인과 조선인, 전근대와 근대, 조선의 전통과 외래의 문물이 혼합된 거대한 용광로 같은 공간 서울이라는 대도시에 잠복한 과거 서사와 일본인들의 역사기억을 살펴보고자 했다. 경성의 ‘풍토’는 ‘내지’에...
-
전경숙2015한국도시지리학회지본 연구에서는 광주광역시를 사례로, 읍성 공간의 형성·해체·재현을 역사적 맥락에서 고찰하였다. 18~19세기 초 자료에 의하면 당시의 읍성 공간은 정치·행정적 기능지역이면서, 왕조 권위의 상징적 공간이었다. 일제 강점기에는 성곽 해체와 함께 식민지 공...
-
조강석2015한국시학연구이 논문의 의도는 시 텍스트 연구에 있어 텍스트 중심의 형식주의적 접근법과 문화? 제도 연구에 기반한 접근법을 접속시킬 수 있는 장소를 텍스트 내부에 지정하고 이를 통해 시 텍스트를 ‘내부로터의 외부로 전개’시키기 위한 방법론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시 이미지에 대해 새롭게 주목하고자 한다. 시 연구에 있어 각별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이미지 연구는 한동안 새로운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