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곽묘신2022불교문예연구This paper is a study focusing on the rituals for the people enshrined here through the Buddhist historical development of Donghak Samsa (東鶴三祠)...
-
윤연실2021정토학연구한국 승가에서 가장 오랫동안 기본 텍스트로 사용하는 의례집은 안진호의 『석문의범』이다. 안진호는 전문 범패승이 아닌 교석(敎釋)에 능통한 대 강백이었다. 당시 장황하고 무속적인 의례를 반대하는 일부의 비판적 여론 에도 불구하고 조선시대 이래 전래하는 의례, 의식문을 집성하고 전통 불 교의례를 중시하여 『석문의범』을 출간하였다. 이 문헌으로 말미암아 당시 승려들은 의식집전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일상...
-
한상길2021한마음연구근대의학이 발전하기 이전까지 역병은 약방藥方으로 다스리기 힘든 재앙이었다. 인간의 힘으로 막을 수 없으니 하늘을 위무하고 역귀를 물리치는 각종 의례를 시행하였다. 재앙을 퇴치하기 위해서는 불교이거나, 도교이거나, 무격이거나 가리지 않았다. 종교와 신앙을 구분하지 않고 영험 있다는 온갖 방안을 동원하였다. 이 글은 역병에 대처하는 한국불교의 의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전에 등장하는...
-
문상련2020보조사상본 논문은 고려 묘지명 중 재가자의 묘지명을 바탕으로 임종의례와 시다림, 다비의례 등 불교 상장례 전반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임종의례의 경우, 불설관무량수불경과 불설무량수경, 불설아미타경 등에 근거한 십육관(十六觀)과 십념(十念)이 통일신라 이래 고려에 전습되었으며, 8세기 초반에 신라에 유입된 불설무상경은 고려시대 재가자의 임종 행법에 영향을 미쳤음을 말하였다. 한편 시다림 행법의 경우 범망경...
-
한상길2020民族文化硏究이 글은 불교의 기우제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기우제에 대한 고찰은 한국불교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불교가 국가와 사회의 요청에 어떻게 부응하였는가를 살펴보는 의미있는 소재가 될 수 있다. 한국불교의 역사적 전개과정에서 기우제는 지금까지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그 이유는 기우제가 가진 기본적인 특성에서 비롯된다. 즉 기우제는 가뭄이라는 특별한 상황에서 단기간에 비정기적, 단발적으로 개설하...
-
이경엽2020남도민속연구The pacification of the lonely spirit or revengeful spirit is an old tradition of shamanism. There are related rituals that are transmitted in ...
-
오경후2020불교문예연구생전예수재는 조선시대 수륙재와 함께 활발하게 설행되었던 불교의식 이다. 수륙재가 죽은 자의 안락을 위한 의식이었다면, 생전예수재는 산 자가 살아있는 동안 자신의 삶을 경계하고 죽은 후의 영원한 안락을 누 리기 위한 의식이자 신앙이었다. 때문에 생전예수재는 낮에 설행되었고, 수륙재는 밤에 설행되었다. 조선시대 생전예수재의 직접적인 명칭은 나 암 보우가 찬술한 글에서 처음 발견된다. 예수재는 왕과 왕...
-
정승석2019佛敎硏究The historical records showing beginning of Beompae(Buddhist hymns) in Korean Buddhism reflects the ritual of offering, salvation of soul and c...
-
고상현2016문화재Since being designated as 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Yeongsanjae has become recognized as a unique representation of Buddhist r...
-
구미래2013불교학연구불교와 토착문화가 결합한 팔관회(八關會)는 고대의 종교의식이 범국가적 종합축제로 발전해나가는 양상을 잘 보여주고 있다. 팔관회가 지닌 역사적·불교적 가치와 문화적·사회 통합적 가치 는 한국 특유의 축제로 승화시켜나갈 수 있는 확고한 기반에 해당한다. 특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