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진아2022人文科學硏究본 연구는 무속 고혼의례의 물질문화 중 고혼대상과 상징물을 논의대상으로 하여 그 역사적 배경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무속의 고혼의례는 조선시대 여제(厲祭)와 수륙재(水陸齋)의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 가정하여 전존(傳存)하는 조선시대부터 1930년대까지 문헌의 전거(典據)를 연구대상으로 살펴보았다. 고혼(孤魂)이란 불가항력적으로 비정상적인 죽음을 맞이한 사자(死者)를 말한다. 조선시대 고혼은...
-
고상현2016문화재Since being designated as 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Yeongsanjae has become recognized as a unique representation of Buddhist r...
-
송화섭2010역사민속학洞祭의 역사는 마을의 역사와 함께 한다. 자연마을은 약 300여 년전에 촌락 분화로 생성된 곳이 많다. 촌락의 분화는 전국적으로 대대적인 住民 移動이 이뤄지는 과정에서 형성되었다. 17세기말 18세기 초에 自然災害에 따른 天災地變으로 기근과 전염병 창궐의 ...
-
홍병화2010조선후기는 불교가 일반백성들의 사이에 폭넓게 자리 잡기 시작한다. 그 가장 큰 이유는 수륙재라고 하는 죽은 자를 극락으로 천도하는 야외의식의 활성화를 들 수 있다. 수륙재는 망자의 천도이외에도 질병치유, 재난극복 등의 이유로도 널리 設行되는데 괘불(미술), 범패(음악), 작법(무용) 등을 동원한 종합예술의 성격이 강해 文盲이 많은 기층백성들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었다. 야외의식을 통한 불교의 대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