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종호2020東洋古典硏究18세기 후반은 성리학적 문학관의 고수와 그것에 대한 반동이 혼재하던 시기였다. 그러한 충돌이 첨예화되어 나타난 것이 바로 정조의 문체반정이었다. 당시 조선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양란의 혼란을 극복하고 청에 대한 새로운 시선을 교류를 통해 확립해 가고 있었다. 그 결과 명⋅청기의 다양한 문학적 실험 성과들이 유입된다. 이러한 유입의 결과, 정통한문학은 패관소품에 대한 경시와 문체순정운동이라는 반작...
-
최고경2018본고는 그간 알려지지 않았던 18세기 문인 天隱 趙宗鉉(1731∼1800)의 문학에 대한 연구이다. 본고의 목적은 당대 지식인층의 문화의 흐름 속에서 개성적인 문학세계를 드러낸 그의 시문을 분석함으로써 조종현의 문학에 정당한 문학사적 위상을 부여하는 데에 있다. 문화사적으로 18세기는 기존의 낡은 관습과 틀을 깨고 다양한 변화를 모색하던 시기였다. 경제가 성장하고 도시 문화가 발전하면서 산수...
-
박영호2004退溪學과 韓國文化기존의 성과를 바탕으로 한시, 한문소설, 한문산문, 한문비평, 한문교육, 경학, 기타 등으로 나누어 최근의 한문학 연구 동향을 살피고 앞으로의 한문학 연구 방향을 모색하기로 한다. 첫째, 90년대 이후 한시 연구의 동향은 '근대'나 '민족'을 확신하고자 하는 한시 연구가 줄어들었으며, 사상적으로 '여성'으로 관심이 옮겨가고, 최근 지역학과 연계 되어 자연의 문제가 새로운 주제로 부각되고 있다는 ...
-
박영호2004퇴계학과 유교문화기존의 성과를 바탕으로 한시, 한문소설, 한문산문, 한문비평, 한문교육, 경학, 기타 등으로 나누어 최근의 한문학 연구 동향을 살피고 앞으로의 한문학 연구 방향을 모색하기로 한다. 첫째, 90년대 이후 한시 연구의 동향은 '근대나 '민족'을 확신하고자 하는 한시 연구가 줄어들었으며, 사상적으로 '여성'으로 관심이 옮겨가고, 최근 지역학과 연계되어 자연의 문제가 새로운 주제로 부각되고 있다는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