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민수2021韓國佛敎學본 논문에서는 사자빈신사(獅子頻迅寺)와 덕주사(德周寺)의 연관성을 살피고자 한다. 기존 선행연구에서는 덕주사가 사료(史料) 등에 기반해 법상종(法相宗) 사찰로 존재했다고 이해되었다. 그러나 다소 신빙성이 떨어지는 덕주사 창건 설화를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되었다. 그리고 사자빈신사의 경우 자료 부족으로 사찰의 성격 등 자세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사자빈신사와 덕주...
-
김선희2021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불교미술은 불교의 교의를 근본으로 하여 발생한 종교미술이다. 그것은 그 발생에서부터 그 당시의 시대적 특징을 지니고 출발했으며, 각 시대 각 민족으로 전파되면서도 그 시대 그 민족의 양식으로 변화 발전하여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불교미술 작품을 통해서 불교적 교의 뿐 만 아니라 각 시대 각 민족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상황과 그 특징을 규명해 낼 수 있다. 본 연구는 우...
-
백영미2012보존과학회지안동 봉황사의 삼세불(三世佛)은 대웅전 후불탱화로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406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들 탱화들은 조선시대 삼세불화 연구의 기준이 되는 작품으로 귀중한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탱화가 그려진 바탕직물의 섬유에 대해 현미경 관찰 및 용해법과 감쇠 전반사이용 적외분광분석법, 주사전자현미경 등을 이용하여 섬유의 재질을 동정하였다. 실험을 위해 보존처리과정 중 수거된 약사불 시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