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정수2021민속학연구This thesis aims not only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rtuary practices of the tombs of the Joseon Period but also to understand the...
-
정우락2020유교사상문화연구This discussion was conceived by the idea that literature was part of daily life in the traditional society. The spatial focus of the study was...
-
김종구2019This study analyzed a travel essay collection titled Sansuyugi, written by scholars in the 17th century. Literary men (Scholars) left this coll...
-
김지완2019본 논문은 조선시대 영남지역 所在 사찰에 所藏된 冊板에 대한 연구로, 소장 책판을 지역별, 시기별, 간행참여자별로 분석하고 사찰에 소장된 책판들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조사 대상 지역은 크게 대구와 경북, 부산과 경남 두 지역으로 나누었다. 대구‧경북 사...
-
유병록2019본 연구는 한국 청동기시대 후기의 대표적인 송국리문화에 대한 관심의 일환이자 그 중에서도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한 송국리문화 연구이다. 송국리문화는 청동기시대 후기 호서(충청도), 호남(전라도), 영남(경상도)지역을 중심으로 확인되는 농경을 기반으로 한 문화로, 사회적으로도 계급사회 이전까지 진전하였던 문화이다. 이 중 영남지역은 시간적으로 다른 지역보다 송국리문화의 등장이 늦었지만 수많은 ...
-
노범준2017This paper focuses on roof tile kilns in the Yeongnam region from the Koryo Dynasty. With Gyeongju, the Yeongnam region served as the central a...
-
조성산2013民族文化硏究성호학의 東國 인식 속에는 동국에서 태어나 동국에서 살아가는 사람이 가져 야 하는 동국의 지식정보라는 의미가담겨져 있었다. 여기에는 중국이라는 중심 성에 대조되는 ‘주변성’의 의미가 있었다. 하지만 그러한 가운데에서도 그들은 동 국에서 ‘중화’의 의미들을 ...
-
김새봄2011경기·충청지역에서는 다른 지역에 비해 원삼국기 철기의 출토양이 적은 편이다. 그러나 최근 이 지역 발굴조사의 증가로 인하여 원삼국기의 유적양상이 확연히 늘어나면서 이와 連動하여 철기자료도 급증하고 있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이러한 철기가 특히 原三國後期 영...
-
전미영2009The function of polished stone axes, one of the important tools for the living of people in the Bronze Age, seem to be changed: first used for ...
-
조명래2007지금까지 조선시대 분묘에 대한 연구는 단순히 문헌기록 검토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최근 고고학적 조사 성과를 바탕으로 이들 자료를 분석하고 문헌기록과 비교하여 여러 특징들을 파악하고자 하는 연구가 늘어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회탄묘는 회묘와 함께 기존 연구에서 주목하지 않았던 탄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영남지역의 조사 사례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축조수법 및 구조에 초점을 맞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