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성우2019인간은 자연의 理致를 탐구하고 그것을 인간 삶에 활용할 것을 염두에 둔다. 風水地理는 땅을 비롯한 자연의 이치를 밝히는 학문으로서 오래 전부터 진지하게 탐구되고 활용되는 분야이다. 전통 지리학인 풍수지리는 陽宅을 비롯하여 陽基 選定과 景觀 造成 및 墓地 選...
-
崔永辰2004남명학연구동아시아가 근세사회로 진입하면, 주자학이 보편적인 이데올로기로 기능하게 된다. 그러나 한중일 삼국에서 주자학에 대한 견해는 동일하지 않다. 본고는 이 점을, 王夫之(중국), 이또진사이(일본), 정약용(한국)의 『중용』해석을 비교함으로서 그 같은 점과 다른 점을 밝히고자 한다. 『중용』가운데에서도 제1장에 나오는 천 성 도에 대한 주석을 그 분석 대상으로 한다. (1) 왕부지는 '천이 리이다.'라...
-
이혜선2002이 연구는 해방직후(1945∼1948)의 문학담론을 ‘민족국가와 민족문화 건설을 위한 좌우익의 근대기획’이라는 구도로 재구성하여 그 내적 특질과 의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해방직후 국가건설의 기획 속에서 문학담론들이 전개되는 양상과 의의...
-
김민정2002조선 시대 실학자 다산 정약용의 철학은 당 시대의 사회 현실에 대한 긴박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그는 문제의 핵심이 인간과 자연을 하나의 통일된 체계내에서 밝히려는 성리학적 사고에 있다고 보고 그러한 기존의 체계를 부정하며 새로운 세계관의 정립을 모색한다. 그는 우선 실체와 속성의 구별에 입각하여 리를 물질적 실체에 속하는 속성으로 파악하고, 물질적 실체인 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존재론적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