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일환2018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시대 유학을 통치이념으로 삼으며 유학을 실천하고 가르치던 공적, 사적 교육을 담당했던 선산지역의 선산향교와 금오서원의 입지선정과 건물의 배치 등 전반적인 주변 환경과 자연적인 여건들이 풍수사상에 입각하여 입지를 선정하였음을 고찰 해 보...
-
박현순2016한국문화Circular letters by Confucian scholars transmitted through National Confucian Academy(Seonggyungwan), local school(hyanggyo), and private acade...
-
여송은2015향교는 지방의 관학교육기관으로서 과거 선비들의 교육기능을 담당하였고, 제향기능을 담당하였다. 이 이밖에도 향교는 각 지역의 유교문화를 대표하는 기구로서 지성들의 집회소, 사회교육의 장소, 도서관 기능, 종합문화로서의 기능 등 매우 다양하고 특색 있는 여러 기능들을 지니고 있었다. 천안향교는 1398년 창건이래로 여러 회에 걸쳐 중수 되었으며 현 위치에서 현재의 모습으로 유지·관리되고 있지만...
-
이종찬2014조선시대 향교는 유교이념을 보급하기 위해 세워진 관학으로 개국과 함께 전국의 크고 작은 고을에 건립되었다. 이후 관학이 부패하여 향교 내 교육이 지지부진해지자 16세기 중엽부터 새로운 사립교육기관, 즉 서원이 등장하였다. 향교와 서원은 크게 교육을 위한 강학공간과 유학의 선현들을 봉사하기 위한 제향공간으로 나뉜다. 그간 이루어진 서원 및 향교에 관한 연구는 현황파악에 그치는 경우가 많았다. 본 논...
-
심우경2012문화재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about the Bansu which surrounded the Sunggyungwan(成均館), national university in the Joseon Dynasty to get the main...
-
최연일2012본 연구에서는 경국대전 성립 전ㆍ후의 향교 운영과 교관정책을 살펴볼 것이다. 특히 향교 운영의 흥패를 가늠할 수 있는 교관의 파견정책과, 교관의 선정과정을 통해 조선전기 교육정책의 의의와 한계를 고찰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향교의 창설 배경과 과정을 살펴볼 것이다. 둘째, 향교의 교육대상이라 할 수 있는 교생을 살펴볼 것이다. 셋째, 향교의 교재와...
-
박수정2008
-
박진철2007담론 201본 연구는 조선 후기 사회변화 속에서 재지사족의 향촌지배 실상과 대응 양상을 순천의 사례로 살펴본 것이다. 지방의 전통적 양반인 재지사족의 지위는 대략 17~18세기에 전성기를 이룬 것으로 보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사족지배체제가 동요하고 해체되기 시작한 것은 19세기 이후부터라고 알려져 왔다. 하지만 이와 반대되는 견해도 적지 않아 아직 어떤 견해가 옳다고 단언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보다 구체적...
-
심경호2004한국문화연구본고는 전근대시기의 교육을 공교육과 사교육, 그리고 문신의 재교육이란 세 분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공교육 기관의 성균관․사부학당․향교, 사교육 기관의 서원서당, 그리고 재교육 제도인 초계문신 제도는 학규를 정하여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설정하였다. 전근대시기의 교육은 학습자들이 관직을 얻어 치국위민(治國爲民)의 이념을 실천하도록 하는데 궁극의 목표를 두었다. 따라서 각 교...
-
오송희2001동국여지승람(東國與地勝覽) ,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등에서 태조 원년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게 설치된 후에도 화재나 지리적 이유 등으로 여러차례 이건하였음을 이건기문이나 상량문(上樑文)등을 통해서 알아보았다. 그리고 조선초 교수관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