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동은2015〈홍길동전〉은 허균이 쓴 최초의 한글소설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작품의 내용, 주제, 배경, 사상, 표기법 등 여러 부분에서 허균의 시대에 탄생했다고 판단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허균은 또 홍길동전을 지어 수호와 비겼다(筠又作吉同傳以擬水滸)”라는 택당집의 ...
-
이민지2013본 연구는 허균, 박지원, 정약용의 고전 산문을 중심으로, 문학 연구자들과 국어교육론자들의 연구 성과를 발전적으로 통합하여 실제 현장에 필요한 문학 교재 개발을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이에 따라 문학 교육 본래의 위상 회복이라는 의도를 충실하게 실현하기 위해 고전 산문이 갖는 문학교육적 함의를 구체적으로 밝히고, 이를 담보하는 실제 활용 가능한 수업교재 개발을 시도하였다. 고전 산문은 선조들의 가장...
-
김진영2013I'm going to make a comparison between the criticism of Hu-Gyoon and Eom-U, sorted into view of literature, poetics and comments from comparati...
-
김상일2011한국선학조선은 新儒學인 性理學으로 입신한 사대부가 중심이 되어 건설한 나라였다. 사대부들은 집권층으로서 유교를 정치의 근본이념으로 삼아 사회 전반에 이 논문은 조선중기 文人士大夫의 불교인식을 살펴 본 것이다. 특히 이 글은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유가사대부들이 불교와...
-
곽정례2011‘허씨오문장가’는 조선 선조대 문학으로 이름을 날린 양천 허씨 가문의 허엽과 그의 네 자녀 허성·허봉·허균·허난설헌을 가리키는 말로서 이들은 국내 뿐 아니라 중국에까지 그 명성을 널리 전한 바 있다. 본 연구는 이들 개개인의 문학적 성취가 아닌, 허엽 가문...
-
곽미선2008열상고전연구이 논문은 허균의 금강산 기행체험을 형상화한 <동정부>를 중심으로 정철의 <관동별곡>, 김창협의 <동정부> 등 세 작품의 관련성을 고찰한 글이다. 辭賦와 歌辭는 수사적인 운용면에서 유사성을 지니는데 敷衍性, 對偶, 그리고 用事를 들 수 있다. 논문의 연구대상으로 설정한 정철의 가사...동정부>관동별곡>동정부>
-
박철상2007한국문화연구국문초록| 국조시산 은 허균이 편찬한 조선시대 대표적인 시선집이지만 허균사후 80년이 지나서야 박태순에 의해 간행된다. 허균이 역모죄로 죽임을 당했기때문에 사람들은 국조시산 이 최고의 시선집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입에 올리는 것을 꺼려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박태순이 간행한 국조시산 은 허균이 편찬한 원본과는 다른 모습을 보여주었다.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오류를 내포하고 있다. 박태순이 간행을 위...
-
윤호진2005열상고전연구이 논문은 손곡 이달에 대해 행해졌던 비평의 중요한 범주를 살펴보고, 그 비평의 구체적 내용은 어떠하였던가를 살펴보고자 하는 데에 있다. 손곡에 대한 논문이 이미 많이 이루어졌고, 논문이 나을 때마다 손곡에 대한 평가를 모두에서 짚고 넘어가지 않은 논문이...
-
신승훈200516세기 후반에서 17세기 전반기의 문학이론이 갖는 문학사적 의의와 특징은 우선 前代 載道論의 磁場에서 벗어나 文章의 독자적인 가치와 의의를 적극적으로 긍정하는 방향으로 轉換되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문장의 가치를 긍정적으로 본다는 점에서는 조선 전기의 館閣文人들에 의해 제기된 文章擁護論, 즉 以文華國의 논리와 事大交隣에의 필요성을 근거로 하는 문학론과 현상적으로는 유사하지만, 立言垂後의 차...
-
채미화2004퇴계학과 유교문화본 논문은 17세기 조선문학의 일단을 대표한 허균의 미학사상의 특색으로 되고 있는 정감미학론의 내용체계 즉 정감의 본체화 의의와 정감의 심미적 경지 및 정감의 심미적 품격에 대한 탐구이다. 문학의 정감적 특성에 대해 고려시기의 시인들은 정감을 문학창작의 가장 기본적인 동기로 인식하였다. 고려말 이후 성리학이 수용되면서 허균 이전까지는 성리학적 사유체계 속에서 '성정(性情)'을 논하였다. 허균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