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현웅2022한국시가문화연구This paper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gasa(歌辭) and pansori in the 18th century: Lee Un-young(李運永, 1722-1794)’s work Sunchangga(淳昌歌). He ...
-
박지영2020湖南考古學報During the period between the 1C BCE and 2C CE, western Jeonbuk area of Honam is viewed as a void zone, in that few sites with the Triangular J...
-
土田 純子2018문화재rom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ism up to the present, the researchers of archaeology and ancient history in Korea and Japan have paid much ...
-
김만호2016지방사와 지방문화「金陵倡義錄」은 임진왜란 시기에 금릉 즉, 康津 지역에서 창의한 인물들에 대한 기록이다. 이 자료는 단독 문건이 아니라 개인의 문집에 부가적으로 실려 있는 것으로 창의한 자의 이름과 간략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현재까지 확인한 바로는 모두 7종의 「금릉창의록」이 전해지고 있다. 우선 문집에 4종이 실려있는데 金應鼎의 『懈菴文集』, 郭期壽의 『寒碧堂集』, 黃大中의 『兩蹇堂集』, 趙彭年의 『溪陰集』...
-
조상현2016본 논문은 ‘湖南’이라는 別稱과 관련된 연구이다. ‘湖南’이라는 名稱이 形成되기까지의 과정에 대한 탐구가 첫 과제이고, 두 번째 과제는 ‘湖南’이 呼名될 때 話者들이 가지고 있는 호남에 대한 인식을 살피는 것이다. Ⅱ장에서 ‘호남’ 명칭의 시원과 변화 과정에 대해 검토하였다. 먼저 ‘호남’이 등장하기 이전, 지금의 호남 지역에 해당하는 ‘한반도 서남부 지역’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
-
김미선2013호남문화연구호남문화 원형을 발굴하고 지역학의 기초를 다지는 일은 호남의 문헌을 연구하는 일부터 시작하여야 할 것이며, 호남의 문집 연구는 호남의 문헌을 연구하는 데 빼놓지 말아야 할 핵심 분야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호남의 문집에 대한 정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그 동안의 호남문집 정리 현황과 특징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하여 호남문집 정리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호남문집 ...
-
김진숙2001마을은 삶의 터전이 될 수 있는 곳에 생성된다. 왕성한 생산활동이 가능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풍요로운 삶이 영위될 수 있는 곳에 사람들이 모여서 마을을 이룬다. 땅은 마을 사람들의 삶의 터전으로 그들의 안녕(安寧)과 직결되어 있다. 그래서 풍요를 기원하는...
-
김송근1993Honam has sufficently affected Korean art so as to be regarded as a center art. This influence began with YANG PENG-SON in the early period o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