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주희2022Journal of Korean Culture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author of Kyeoncheoplok(見睫錄), one of the Biji(筆記)-style historical literatu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
-
신현웅2022한국시가문화연구This paper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gasa(歌辭) and pansori in the 18th century: Lee Un-young(李運永, 1722-1794)’s work Sunchangga(淳昌歌). He ...
-
김미라2022한국문화연구The furniture for the meal-setting in Joseon Dynasty Era is generally known as ‘Soban’ for meal service with mostly 20~30cm height and seated-o...
-
윤세순2022인문학연구In this paper, I studied the appendix of letter writing guidebooks that were used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o the 1950s. This period is div...
-
문준영2022法學硏究Yugyeongnok(惟輕錄), the Record of in dubio pro leviore poena, is a compilation of the decision of criminal cases by Jeong, Won-young(鄭元容, 1783-18...
-
문준영2022법과 사회In the Joseon Dynasty, even after arranging the death penalty for criminals who committed a crime punishable by death, it was required to revie...
-
김용옥2020차의 보관은 재배, 제다, 음용과 함께 차 생활의 핵심 부분을 이룬다. 차 고유의 신선한 색과 맛, 풍미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잃지 않으려면 보관이 매우 중요하다. 조선 후기는 차 생활이 활발했던 시기로 차 관련 많은 문헌을 남겼다. 본 연구는 ...
-
송수진2020한국학논집Kim Jeong-hui (1786∼1856), otherwise known as Chusa, was a Silhak scholar and writer who emphasized Silsagusi, which means seeking truth ground...
-
김선정2017옥수(玉垂) 조면호(趙冕鎬)의 시문집 옥수집(玉垂集)에 수록된 차와 관련한 시문(詩文)은 180여 수(首)이다. 9,000수가 넘는 조면호의 전체 차시 수에서 차시가 차지하는 비중은 높지 않다. 그러...
-
이기현2017본 논문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호적 자료를 문헌적으로 검토하여, 호적 자료의 변화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호적 자료를 연구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조선시대를 살아간 사람들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조선시대의 문자 생활은 대부분 한자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간찰, 일기 편, 문서 초고 등과 같이 가공되지 않은 1차 자료라도 한자를 읽고 쓸 수 있는 지식인층에 의해 작성된 것이 대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