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기홍2020한국도자학연구태안 당암포 수중유적은 2016년 11월 압수된 유물과 도굴범의 검거로 존재가 알려졌다. 이후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2016년 12월 긴급탐사를 시작으로 2017년과 2018년 1차, 2차 발굴조사를 완료하였다. 출수유물은 106점 중 청자 70점, 백자 33점, 도기 2점 닻돌 1점이 확인되었다. 당암포 해역은 해양지리적으로 17세기 개통된 안면운하를 통해 안흥량 해역으로 이동하는 항로로 알려져...
-
박맹수2019열린정신 인문학연구This paper sheds light on the historical culture and significance of the Tamjin River area. In order to examine the history and culture of a si...
-
변남주2018한국학논총본 논문은 조선시기 제주 ‘관해로’와 관련하여 육지부 포구의 변화를 살펴본 것이다. 조선시대에 편찬된 지리지에서 언급한 육지부 출발포구는 모두 3곳(나주, 해남 삼촌포, 강진 군영포)으로 조선시기 내내 변경이 없다. 이런 지리지의 내용을 다른 기록에 나타나...
-
김나영2016지방사와 지방문화본고는 15~19세기 표류인 가운데 유독 ‘표류 제주인’들에게만 나타나는 모습, 즉 자신의 출신지를 숨기는 행동양상에 주목하여 시기별․표착 국가별로 그 실태를 추적해 나감으로써 궁극적으로 표류 제주인들이 출신지를 숨겨야만 했던 그 원인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
-
최성환2010지방사와 지방문화문순득은 조선후기 현 신안군 우이도에 살았던 상인이다. 1802년 1월 태사도(현 대흑산도 인근)에서 표류하여 琉求·呂宋·澳門 등을 체험하고, 중국대륙을 경유하여 1805년 1월에 고향에 돌아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순득이 표류를 통해 획득한 새로운 경험의 특징과 주변 지식인들에게 미친 영향을 검토하는 것이다. 문순득이 표류기간 중 체험한 지역 중에는 유독 국제적인 무역항이 다수 포함되어 있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