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정명2022일본역사연구This paper examines the exchange of intellectuals between Korea and Japan from the late 1990s to the 2000s, focusing on the criticism of nation...
-
김영미2021국어문학본고는 궁핍하고 불안한 시대를 살면서도 자신의 길을 잃지 않았던 조명희 작품에 드러난 시적 세계를 분석하여 그가 인식하고 있던 현실과 그가 바라던 세상을 확인해 보았다. 조명희는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생명체는 아름다운 빛과 소리로 자신의 발자취를 남긴다고 보았다. 이를 근거로 필자는 조명희의 시 작품에 드러난 시적 공간을 통해 시인의 발자취를 살펴볼 수 있었다. 조명희 초기 시에는 시적 ...
-
김지영2021비교일본학본 논문은 2019년 일본의 대한국 수출 규제를 국제정치경제학의 경제 제재 논의의 틀 속 에서 그 성격과 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정치적 목적을 이루기 위한 경제적 수단의 사용은 효과적인 외교 정책인가?’라는 질문에 지금까지의 경제 제재 연구들은 피제재국이 민주국가 일수록, 그리고 역사적, 문화적, 전략적인 이익을 공유하는 나라로부터의 제재일수록 경제 제 재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고 주장해 ...
-
김인수2020역사교육연구On October 30, 2018, the Korean Supreme Court ruled that Japanese companies should compensate victims forcedly labor─?mobilized by Japanese sta...
-
전성곤2020일본사상이 글에서는 『계간삼천리』를 중심으로 일본이 만들어낸 조선관이 갖는 ‘식민주의’ 성격을 분석했다. 여기서 식민주의의 문제란 세계화 담론에 편승하여 자국 중심주의를 재편하는 사상적 구조를 의미한다. 즉 중국이 중심이었을 때에는 세계사상으로서 중화주의를 받아들임으로써 조선을 열등한 존재로 재구성해냈고, 서구 열강의 등장에 부딫힌 경우에는 서구를 문명의 중심에 두고 중국과 조선을 열등한 존재로 하위범주...
-
안미정2020역사와 경계1990년대 중반 한국 사회의 세계화 담론은 한국 문화의 세계화라는 화두를 제기하였다. 한국문화의 정체성에 대한 규명과 더불어 과거의 역사적 경험이 재해석되면서 세계화 담론은 민족문화의 위기 담론과 함께 형성되어 왔다. 2016년 제주해녀문화의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등재는 한국 사회에서 문화의 세계화가 어떻게 수용, 전개되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제주해녀문화의 등재 과...
-
정동준2019중국고중세사연구
-
정동준2019先史와 古代In this article, eight Korean history textbooks published in 2014 were reviewed to analyze nationalistic narratives in ancient history sections...
-
전재호2019정치사상연구이 글은 기존 역사학계를 식민사관으로 공격하는 등 한국사회에 큰 파문을 일으켰던 국수주의 역사학을 다루었다. 그들은 영토 팽창주의에 근거해 거대한 영토와 문명을 지닌 한민족의 위대한 고대사를 주장했다. 1970, 80년대에는 자신들의 주장을 국사 교과서에 반영하는 활동을 전개했고, 1990년대부터는 사이버 공간을 이용하여 대중적 확산을 꾀했으며, 2010년대에는 역사학계의 학술사업을 공격하여 좌초...
-
박성황2018世界地域硏究論叢Since Abe’s second term was established, the differences in positions about the past history between the two countries has become increasingl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