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왜인이 본국에서 고기잡는 것에 관해 의논하라고 이르다.
임금이 우승지 이승손(李承孫)을 인견하고 이르기를,
“…… 옛적에 신라의 후예가 다대포(多大浦)에 가서 놀다가 장가들어 아들을 낳았는데, 지금의 대내전(大內殿)이 바로 그 후손이다. 이 까닭으로 태종조 때에 대마도의 왜인이 우리 국경에 들어와서 도둑...
-
왕세자가 도승지 조서강 등을 인견하다.
왕세자가 도승지 조서강(趙瑞康)․좌승지 이승손(李承孫)을 인견하고, 경상도감사가 바친 바다 섬의 지도(地圖)를 펴놓고서 수로(水路)의 굽고 곧은 것을 의논하고, 이어서 최완(崔浣)의 죄를 의논하였다.
-
강권선과 금구랑을 일기주에 사신으로 보내고 등구랑으로 하여금 소오예 등을 만나보게 하다.
조서강(趙瑞康)․이승손(李承孫)이 아뢰기를,
“이제 등금구랑(藤金九郞)의 말에 의해서 장차 초무관(招撫官) 강권선(康勸善)을 보내어 등구랑(藤九郞)과 함께 일기도(一岐島)에 가서 적왜(賊倭)를 체포하고, 또 포로 되어 간 인물을 수색하게 하려고 하는...
-
일본 국왕의 죽음에 다시 사신을 보낼 것인가를 승정원에 논의하게 하다.
임금이 승정원에 이르기를,
“전자에는 일본국왕이 죽은 것을 전해 듣고서도 통신사(通信使)를 보내어 전왕(前王)에게 치전(致奠)하고, 신왕(新王)을 하례하였는데, 지금은 변효문(卞孝文)이 국왕의 죽은 것을 친히 보고 왔으니 어떻게...
-
명나라에서 왜구를 잡아오라 칙지를 내리기 전에 잡아온 왜구를 보내는 것의 가부를 논의하다.
왕세자가 예조판서 김종서와 도승지 이승손(李承孫), 좌부승지 황수신(黃守身)을 불러 보고 임금의 교지를 전하였는데, 이에 이르기를,
“이제 사로잡은 왜적(倭賊)을 명나라로 잡아 보내는 것은 사세가 어려울 듯하나, 지금 풀어 보내는 잡혀 갔던 명나라 ...
-
초무관 강권선이 잡아 온 왜구들을 중국에 보낼 것인가의 여부를 의논하다.
초무관(招撫官) 강권선(康勸善)이 등구랑(藤九郞)과 더불어 왜적 피고실라(皮古失剌)․별고라(撇古羅)와 삼패랑고라(三孛郞古羅)의 아들 인입라(因入羅)와 양고(養古)의 사위 마타패(馬打孛) 등을 잡아 가지고 대마도에 이르러서 치계(馳啓)하니, 삼군진무(三軍鎭撫...
-
유구국 사신 도안에게 연회를 내리다.
유구국의 사신 왜승(倭僧) 도안(道安)에게 연회를 예조에다 내려 주었다. 도안이 술에 취하여 노래하고 춤추었다. 예조판서 이승손(李承孫)이 그에게 말하기를,
“성상께서 너에게 호군직(護軍職)을 제수하셨는데, 너는 그것을 아는가?” ...
-
예조판서 이승손에 명하여 왜인 신사야문을 그 집에서 연회하게 하다.
예조판서 이승손(李承孫)에게 명하여 왜인 신사야문(信沙也文)을 그 집에서 연회하였다. 이승손이 신사야문(信沙也文)에게 말하기를,
“성상께서 너에게 호군직(護軍職)을 제수하셨는데, 호군은 대부의 직(職)이다. 은대(銀帶)를 띠는 영광은 너무나 큰 것이...
-
유구국의 진상을 받는 것과 답사를 논하다.
유구국(琉球國)은 왜국이 가로막혀 스스로 우리나라와 통할 수 없기 때문에, 무릇 바칠 물건이 있어도 왜국으로 인연하여 진상하니, 우찬성 황수신(黃守身)이 아뢰기를,
“유구국은 멀리 해외에 거하여 우리나라와 더불어 서로 연경(連境)하지 않았고, 또 이...
-
사정전에 나아가 음복연을 베풀 때 왜인과 야인이 시연하다.
사정전에 나아가서 음복연(飮福宴)을 베푸니, 양녕대군 이제(李褆)·효령대군 이보(李補)·임영대군 이구(李璆)·계양군 이증(李璔)·밀성군 이침(李琛)·의창군 이공(李玒)·영해군 이당(李瑭)·운성부원군 박종우(朴從愚)·하동부원군 정인지(鄭麟趾)·우의정 강맹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