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왜적의 침입을 방어하지 못한 경상우도 수군절도사 이종인 등을 잡아오게 하다.
전교하기를,
“조라포(助羅浦)의 왜적이 입구하였을 때에 방어를 착실히 하지 않아서 백성이 많이 살해당하게 하였으니, 경상우도 수군절도사 이종인(李宗仁), 우후 김경조(金敬祖), 만호 조윤침(趙允琛)을 의금부로 하여금 잡아오게 하...
-
이종인이 경군관 5명은 토인으로 갈아줄 것 등을 청하다.
전라도수사 이종인(李宗仁)이 아뢰기를,
“신이 부임한 곳은 방어가 아주 긴요하므로, 경군관(京軍官) 10명을 데리고 갔으나, 물에 관해서 익숙하지 못하여 풍파를 만나면 모두가 기력을 잃으니, 이 중에서 5명을 덜어 토병으로 갈아주소서. 또 갑자기 왜...
-
전라좌도 수군절도사 이종인이 적왜 17급을 베어 치계하다.
전라좌도 수군절도사 이종인(李宗仁)이 적왜 17급을 베어 치계하였다.
-
적왜를 포참한 사람에 대한 논상 및 의주 등처를 조치할 일을 의논하다.
명하여 적왜 포참(捕斬)한 사람에 대한 논상 및 의주 등처를 조치할 일을 의논하게 하였다. 삼공·부원군·병조·예조가 함께 의논드리기를,
“이종인(李宗仁)에게는 특별히 한 자급을 가자하고, 선위사(宣慰使)를 보내어 잔치를 베풀고 위로할 것이며, 그 사...
-
정원이 벤 왜두를 삼포의 왜인에게 효시하자 청하니 논의하여 따르다.
정원이 아뢰기를,
“이종인(李宗仁)이 베어 보낸 왜인의 머리 17급을 삼포의 왜인에게 효시하고, 이어서 말하기를, ‘왜적의 배 다섯 척이 전라도를 침구하였다가, 한 배가 포획되어 목을 베었으니, 너희들이 면목을 보고 만일 아는 ...
-
포획한 왜선의 총통과 장전에 새겨진 이름의 출처를 추문하여 아뢰라 하다.
전교하기를,
“이종인이 포획한 왜선이 소유한 총통 및 장전에 혹은 남해(南海)라 적고, 혹은 마도(馬島), 혹은 사람의 성명을 적었으니, 이는 반드시 경상·전라 양도 연변 각 포에 도적질하여 얻은 바일 터인데 변장이 은닉하고 알...
-
전라좌도 수군절도사 이종인이 적왜의 머리 13급을 베어 치계하다.
전라좌도 수군절도사 이종인(李宗仁)이 적왜의 머리 13급을 베어 치계하니, 정원에 전교하기를,
“이 계본(啓本)을 삼공에게 보이고 포상할 것을 의논하게 하라.”
하였다.
-
대사헌 권홍 ․ 대사간 최숙생 등이 이종인에게 연이어 가자하는 것은 불가하다 하다.
대사헌 권홍·대사간 최숙생 등이 앞의 일을 가지고 아뢰고, 또,
“이제 듣건대 이종인은 또 한 자급을 더한다 하니, 비록 특이한 공은 있으나 열흘 사이에 두 차례나 가자하여서는 안 됩니다. 어찌 명기를 아끼지 않는 것이 한결같이 이에 이릅니까?”
...
-
조강에서 이종인에게 가자하는 것 ․ 왜노 정벌 ․ 최명동의 동반 서용을 논하다.
조강에 나아갔다. 사간 윤경(尹耕)·장령 김안국(金安國)이 앞의 일을 아뢰고, 영사 성희안은 아뢰기를,
“근자에 변장이 무어(撫御)함에 도리를 잃었으므로, 왜노가 더욱 흉포를 펴서 표절을 자행하되, 변장이 참획하는 이 있음을 듣지 못했습니다. 지금 ...
-
전라좌도 수군절도사 이종인에게 공로를 칭찬하고 포상하는 글을 내리다.
전라좌도 수군절도사 이종인(李宗仁)에게 글을 내리기를,
“분곤하여 의지함은 중요함이 어진 이를 얻음에 있고, 장신의 충성은 귀함이 어모에 있다. 벌레 같은 왜노들 구서의 무리가 몰래 변강에 들어와 여러 차례 침략을 폄에, 오직 경은 기틀을 살피고 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