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성 ․ 기자헌 ․ 이계록 ․ 송순 ․ 신흠 ․ 임현 ․ 허성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구성(具宬)을 홍문관 부응교에, 기자헌(奇自獻)을 이조좌랑에, 이계록(李繼祿)을 병조좌랑에, 송순(宋諄)을 강원도사에, 신흠(申欽)을 사헌부 지평에, 임현(任鉉)을 회양부사(淮陽府使)에, 허성(許筬)을 겸관상감교수에 제수하였다.
-
근래에 백관들이 관사를 태만히 하는 것에 대해 사간원이 아뢰다.
사간원이 아뢰기를,
“근래에 백관(百官)들이 관사에 태만하여 세월만 보내는 것이 습관이 되어 수습할 수 없게 되었으니, 매우 한심합니다. 우선 훈련도감(訓鍊都監)의 일만 가지고 말하더라도, 조련하는 조치가 점차 전과 같지 않아 ...
-
최염을 임현으로 개차하고 심 사신을 함양 ․ 거창 등지로 이주케 하다.
비변사가 아뢰기를,
“양총병(楊總兵)이 말한 접반(接伴)할 고위의 배신과 군량을 관할하는 호조의 당상관을 이조로 하여금 속히 조처하게 하였으며, 여러 장수 이하들에게 총병의 지휘를 받게 하는 일과 남원의 성곽을 수축하는 일에 대...
-
검열 이지완이 남원 등지의 군량 문제 등에 대해 양총병과 나눈 대화를 보고하다.
검열 이지완(李志完)이 아뢰었다.
“신이 양총병(楊總兵)이 묵고 있는 곳에 나아가 문안을 드렸더니, 총병이 들어오라고 하였습니다. 양총병이 정기원(鄭期遠)에게 말하기를 ‘당신과 나는 함께 적군을 토벌해야 하며 성을 수비할 때에는 같이 한 성으로 들어...
-
양총병이 산성의 군기와 군량을 본성으로 옮겨 방어해야 한다고 말하다.
6월 14일에 성첩한 양총병(楊總兵)의 접반사 정기원(鄭期遠)의 서장에,
“이달 14일에 총병이 남원부(南原府)에 들어가 성을 순시한 뒤 신들을 부르기에 신과 접반사 민준(閔濬), 부사 임현(任鉉)이 함께 가서 보았더니, 총병이 신에게 말하기를, ‘...
-
총병 양원과 남원부사 임현 등의 대화 내용을 접반사 정기원이 치계하다.
양총병(楊總兵)의 접반사 정기원(鄭期遠)이 치계하였다.
“총병이 신과 남원부사 임현(任鉉)을 불러 말하기를 ‘정탐인의 말에 의하면, 왜적이 4일 경에 이 성에 육박하여 올 것이라고 하기에 내가 즉일로 마도독(麻都督)에게 청병하였다.’ 하였습니다. 신...
-
총독경략군문 및 경리조선군무도찰원에 남원 함락을 보고하는 자문을 보내다.
총독경략군문(總督經略軍門) 및 경리조선군무도찰원(經理朝鮮軍務都察院)에 자문을 보냈다.
“조선국왕은 남원이 함락당한 연유를 조사하여 보고합니다. 양총병(楊總兵)의 근수통사(跟隨通事) 박의성(朴義成)이 남원으로부터 달려와 말하기를 ...
-
죽은 병사 이복남의 처가 구휼을 요청하다.
비변사가 아뢰기를,
“죽은 병사 이복남(李福男)의 아내 한씨(韓氏)가 본사에 정장하기를 ‘가옹이 전사한 뒤로 갈 곳이 없어서 평안도 영변에 유랑하고 있는데, 굶주림에 시달려 애통하기 그지없다. 여느 전사한 장관 처자의 예에 의거...
-
송응순이 다시 송언신의 파직을 청하다.
정언 송응순(宋應洵)이 와서 아뢰기를,
“신들이 함경감사 송언신(宋言愼)을 파직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는 뜻을 가지고 여러 날 논렬하였는데도 유음이 아직껏 없으시니, 신들은 민망하고 답답함을 이기지 못하겠습니다. 송언신은 스스로 근신하지 않고 사치를 ...
-
적이 남원을 함락시키니 양원이 도망쳐 돌아왔으나 후에 중국에서 죽이다.
적이 남원을 함락시키니, 총병 양원(楊元)은 도망하여 돌아왔고, 총병 중군 이신방(李新芳), 천총 장표(蔣表)·모승선(毛承先), 접반사 정기원(鄭期遠), 병사 이복남(李福男), 방어사 오응정(吳應井), 조방장 김경로(金敬老), 별장 신호(申浩), 부사 임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