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상호2014淵民學志연민 이가원(李家源)의 시학 중 가장 중요한 개념은 온유돈후(溫柔敦厚)이다. 그의 온유돈후는 시교를 통해 천부적인 인성(仁性)을 확충하여 얻어지는 덕으로서 하학상달하여 성인의 경지에 이르는 공자의 주요 교육 방법과 목표와 같다. 그래서 필자는 연민의 온유돈후의 시학을 시적 인성교육론의 입장에서 접근한다. 연민의 시교는 정음을 가지고 거센 민심을 온윤(溫潤)·화유(和柔)·독실(篤 實)하게 유도하는 것이…
-
이정화2004退溪學과 韓國文化누정시는 景物詩 가운데서도 핵심을 이루는 부분이다. 퇴계학맥을 창도한 퇴계의 경우, 實景을 묘사하는 敍景은 하지 않고, 대상의 내재적 의미를 확인하거나 드러낸 시편이 많다. 퇴계의 嫡傳인 학본의 누정시에서 寫景의 비중이 크지 않은 것은 그가 바로 스승 퇴계와…
-
이정화2004退溪學과 韓國文化누정시는 景物詩 가운데서도 핵심을 이루는 부분이다. 퇴계학맥을 창도한 퇴계의 경우, 實景을 묘사하는 敍景은 하지 않고, 대상의 내재적 의미를 확인하거나 드러낸 시편이 많다. 퇴계의 嫡傳인 학본의 누정시에서 寫景의 비중이 크지 않은 것은 그가 바로 스승 퇴계와 같은 도학적 시인임을 입증하는 것이 되며, 이것이 학본의 누정시와 퇴계의 그것에서 보여지는 공통된 특징이라 하겠다. 특히, 학봉은 스승 퇴계가…
-
김영주2003退溪學과 韓國文化본 논문은 小論系 文學理論의 史的 展開를 파악하는 연구의 일단으로 그 대표자인 藥泉 南九萬(1629∼1711)의 文學理論을 고찰하였다. 藥泉 南九萬은 조선 최초의 陽明學 수용자로 거론되는 南彦經이 從高祖이며, 그의 집안과 절친한 張維나 崔鳴吉 一門 역시 양명적 학풍을 추구하였다. 또한 처남인 朴世堂의 주자학에 대한 비판적 경향과 老莊學에 대한 경도를 참고할 때, 그의 학문 경향이 당시의 일반 사대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