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염명경2018본 연구는 세종조 신악(新樂) 창제의 과정과 신악의 내용적·형식적 특징에 대한 분석을 통해 신악이 갖는 교화적 의의를 논하였다. 세종이 고취악(鼓吹樂)과 향악(鄕樂)에 바탕을 두고 창제한 4개의 신악(新樂)은 발상(發祥)·정대업(定大業)·보태평(保太平)·봉래의(鳳來儀)를 일컫는다. 발상은 육조가 하늘에서 상서(祥瑞)를 받았다는 내용을 5언구·4언구의 한문 가사로 표현한 총 11개의 모음곡이다. 정대업…
-
김정녀2016한민족문화연구본고는 취석실(醉石室) 우하영(禹夏永)의 문집 『천일록(千一錄)』에 수록된 인물전(人物傳)을 대상으로 우하영이 당대 사회를 어떻게 인식하였으며, 어떤 방법으로 사회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고자 했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그간 우하영은 `농업사상가`, `실학자`로서 주목 받았으나, 『천일록』에는 농업사상 외에도 사회의 폐단을 개혁할 각종 구폐책(救弊策)들이 수록되어 있으며, 특히 「잡록(雜錄)」에는 그가…
-
남상호2015한일관계사연구본고에서는 근대일본의 국민도덕의 성립과정을 살펴보았다. 국체, 가족주의, 조상숭배(경신숭조), 충효일치를 근간으로 하는 국민도덕의 기능은 시대에 따라 변화는 있지만 공통적인 것은, 천황을 중심으로 한 공동체의 일원이라는 일본인의 정체성을 자각시켜 개인주의를 배제시키고 있는 점, 또 생산력주의와 결합하여 생산력확대에 저해가 되는 봉건적 요소를 배제하고 있는 점에 있다. 본고에서 기존 학설과는 달리…
-
강성숙2013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본 논문은 19세기 여성 인식이 그 시대적 변화와 맞물리면서 어떻게 지속되고 변화하는지를 살피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여성의 효행과 열행에 대한 평가가 드러나는 문집의 자료를 대상으로 검토했다. 19세기와 20세기 초에 활동한 문인들이 쓴 여성 행장, 묘지명 등의 자료를 검토한 결과, 이 시기 대부분의 여성 기록은 효행과 열행에 주목하여 여성의 생애를 재구하고 있었다. 거의 모든 여성의 기록이…
-
김언순2007한국문화연구조선의 건국 세력은 유교 이상사회를 건설하기 위해 인간의 도덕성에 호소하는 방식을 취하였으며, 이것은 교화(敎化)정책으로 나타났다. 유교 이념과 규범의 내면화를 목적으로 하는 교화는 성(性)과 신분을 떠나 조선 사회 구성원 모두를 대상으로 하였다. 지배집단을 구성하는 사대부는 교화의 주체인 동시에 일차적인 교화 대상이었다. 조선시대의 교화는 교화를 행하는 자의 일방적인 도덕규범 전파가 아니라 솔선수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