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申益愰, 1862, 克齋集
    한국문집총간 제185집 본 문집의 저본은 저자의 계자(季子) 신성(申珹)이 수집, 편차하여 이재(李栽)와 이상정(李象靖)의 산정을 거친 후, 현손 신정응(申楨應)이 부록을 추가하고 유치명(柳致明)의 교정을 받아 1862년에 간행한 초간본으로, 13권 7책(427판)의 목판본이다. 권1은 사(辭)ㆍ시, 권2~11은 문, …

  • 金垓, 1783, 近始齋集
    조선 시대 근시재(近始齋) 김해(金垓, 1555~1593)의 문집이다. 저자의 유문은 증손 김석윤(金錫胤)이 가장되어 오던 초고를 바탕으로 수집 편차하여 불분권 1책의 형태로 이보(李簠)에게 발(跋)을 받고 1708년에 조덕린(趙德鄰)에게 서문을 받았고, 1783년경 후손인 김돈(金墪)과 김영(金瑩) 등이 주축이 되어 …

  • 柳致德, 1895, 近庵集
    조선 시대 근암(近庵) 유치덕(柳致德, 1823~1881)의 문집이다. 저자의 유적과 유문은 아들 진호(震鎬)와 관호(觀鎬)가 친족이자 문인인 병호(秉鎬), 연뢰(淵雷), 연각(淵覺) 등과 함께 수습 정리하여 족손 필영(必永)에게 가장(家狀)을, 김도화(金道和)에게 행장(行狀)을, 이만규(李晩煃)에게 1895년경 묘갈명…

  • 柳栻, 1960, 近窩集
    조선 시대 근와(近窩) 유식(柳栻, 1755~1822)의 문집이다. 5대 종손 승경(承景)과 족손 승조(承祖)가 종중(宗中)과 사림의 지원을 받아 가장초고를 바탕으로 수집 편차하고, 7대 종손 병철(炳喆)이 제문 및 삼종현손 언형(彦馨)과 자신의 발문을 목활자로 23판을 별도로 찍어 첨부한 후 1961년경에 반질하였다.…

  • 朴胤源, 1817, 近齋集
    한국문집총간 제250집 저본은 저자의 자 종여(宗輿)가 가장초고(家藏草稿)를 바탕으로 수집·편차하여 저자의 문인 홍직필(洪直弼)·임노(任魯)·오희상(吳熙常) 등의 교정을 받은 것을 1817년 종자 종경(宗慶)이 전사자(全史字)로 인행한 초간본임. 권1~3은 부와 시, 권4~31은 문으로 서(書)·서(序)·기(記)·제발(…

  • 安軸, 1910, 謹齋集
    Koryŏ
    한국문집총간 제2집 본 문집의 저본은 女婿 鄭良生이 關東瓦注集을 처음 간행한 뒤 후손들에 의해 補遺ㆍ附錄 등의 증보 혹은 개편을 거쳐 1910년에 간행된 것이다. 원집에는 弟 輔의 문집이 附集되어 있으나 여기서는 제외하였음. 저자의 시문중에는 關東別曲 등의 경기체가가 실려 있다.

  • 張璶, 1772, 錦江集
    조선 시대 금강(錦江) 장신(張璶, 1629~1711)의 문집이다. 본집은 박이장(朴履章) 등이 가장초고를 바탕으로 수집ㆍ편차하여 1772년 영천(榮川)에서 목판으로 간행한 초간본이다. 본집은 6권 2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권수에는 1772년에 이상정(李象靖)이 쓴 서가 있다. 권1은 시로서 시체별ㆍ연대순으로 실었고,…

  • 魯認, 1823, 錦溪集
    한국문집총간 제71집 본 문집의 저본은 저자의 후손 태신(泰臣) 등이 수집ㆍ편차하여 1823년 간행한 초간본으로, 왜곡록(倭谷錄)ㆍ왜국지도(倭國地圖) 등 일본에 대한 자료가 실려 있다.권7 ~ 8은 부록이다. 8권 2책(144판)의 활자본이다.

  • 黃俊良, 1755, 錦溪集
    한국문집총간 제37집 본 문집의 저본은 손여성(孫汝誠)이 1567년경 간행한 초간본에 정구(鄭逑)가 외집(外集)을 첨부한 것을 이만화(李萬華)와 종손 상화(尙鏵) 등이 1755년 풍기에서 부록을 증보하여 간행한 중간본으로, 내집 5권, 외집 9권 합 5책(409판)의 목판본이다.

  • 宋來熙, 1907, 錦谷集
    한국문집총간 제303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