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헌납 이상신이 정원의 단자 봉입과 강화의 교마와 인부 문제 등을 아뢰다.
    헌납 이상신(李尙信)이【좌목은 위와 같다.】와서 아뢰기를, “대간이 논열하고 있는 일은 담당 사에서 감히 태연히 시행할 수 없고 상께서도 시행해서는 안되니, 이는 예부터 내려오는 규례입니다. 이번에 제궁의 권속을 피난시키는 거조는 실로 종사의 존망에 관…
  • 대사간 이희득 등이 언관의 책임을 다하지 못한 죄로 파척을 청하다.
    대사간 이희득(李希得), 헌납 이상신(李尙信)이 아뢰기를, “신들이 어젯밤 성비(聖批)를 보니 사의(辭意)가 엄준하므로 놀랍고 두려워 어떻게 해야 할지를 몰랐습니다. 근래에 궁권을 피난시키는 거조때문에 내외가 흉흉하게 놀라고 인심이 놀라 흩어져 종사의 …
  • 지평 오백령이 이희득과 이상신의 출사를 청하다.
    지평 오백령(吳百齡)이【대사헌 김찬(金瓚), 장령 남이신(南以信).】와서 아뢰기를, “대사간 이희득(李希得)과 헌납 이상신(李尙信)이 인혐하고 물러갔습니다. 여러 궁권을 피난시키는 거조를 삼사가 힘껏 쟁론하고 공론이 바야흐로 격해지고 있는데, 복관의 사…
  • 접반사를 고관으로 차임하고, 용렬한 고부군수 원지를 체차하다.
    정언 성이문(成以文)이【대사간 이희득(李希得), 헌납 이상신(李尙信).】와서 아뢰기를, “복관의 사단을 봉입한 일로 색승지(色承旨)를 파직하고 동참한 승지를 추고할 일과 사복시제조(司僕寺提調)를 추고할 일과 이후의 거둥은 반드시 정원에 하교하여 거행할 …
  • 사간원이 사대부들의 피난을 논계하지 못한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하다.
    대사간 이희득(李希得), 사간 남이신(南以信), 헌납 이상신(李尙信), 정언 조즙(趙濈)이 아뢰기를, “이와 같이 변경이 위급한 때를 당하여 백성들은 모두 흩어질 마음을 품고 있는데 만약 내전께서 피난하신다면 성 안은 텅 비게 되어 수습할 길이 없을 것…
  • 장령 송준, 지평 오백령이 언관의 출사를 건의하여 허락받다.
    장령 송준(宋駿), 지평 오백령(吳百齡)이 와서 아뢰기를, “대사헌 이기(李墍), 대사간 이희득(李希得), 집의 권춘란(權春蘭), 사간 남이신(南以信), 지평 성이문(成以文), 헌납 이상신(李尙信), 정언 조즙(趙濈) 등이 모두 인혐하고 물러났습니다. …
  • 정언 이이첨 등이 상호군 조경, 중군 조의와 윤담, 사예 권춘란의 처벌을 청하다.
    정언 이이첨(李爾瞻)이【대사간 윤담무(尹覃茂), 사간 이상신(李尙信), 정언 조즙(趙濈)이다.】와서 아뢰기를, “상호군 조경(趙儆)은 훈련도감 대장으로 군사를 거느리고 왜적을 토벌하러 나가 머뭇거리다가 끝내 왜적을 보지도 못하고 돌아왔으니 매우 통분합니…
  • 종묘와 사직을 봉환하는 예문에 대해 정언 이이첨이 이의를 제기하다.
    정언 이이첨(李爾瞻)이【천성이 영특하고 기개가 있으며 간쟁하는 풍도가 있었다. 사간은 이상신(李尙信)인데 유약하여 강직하지 못했다. 정언은 조즙(趙濈)이다.】와서 아뢰기를, “흉적이 조금 물러가고 종묘 사직이 다시 돌아왔으니 온 나라 신민의 비감이 어찌…
  • 각도의 체찰사 ․ 도원수 ․ 병사 ․ 수사에게 선참 후계의 권한을 주자고 정언 이이첨이 건의하다.
    정언 이이첨(李爾瞻)【사간은 이상신(李尙信)이고 정언은 조즙(趙濈)이다.】이 와서 아뢰기를, “오늘날 흉적이 가득하게 된 것은 오로지 군법이 해이한 데에서 연유한 것입니다. 변란 이후로 죄를 범한 자들이 모두 정당한 형벌을 받았다면 사람들이 반드시 죽음…
  • 군량 조달의 임무를 띠고 파견된 관원의 수효를 줄이기로 하다.
    정언 이이첨(李爾瞻)이【사간 이상신(李尙信), 정언 조즙(趙濈).】와서 아뢰기를, “근일 하도(下道)에 양초의 준비를 재촉하는 일로 서울에서 차출해 보낸 관원의 수효가 매우 많습니다. 각도에는 이미 감사와 도사 및 종사관이 있고 또 사고(査考)니 총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