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李英輔, 1759, 東溪遺稿
    조선시대 후기
    조선 시대 동계거사(東溪居士) 이영보(李英輔, 1687~1747)의 문집이다. 본집은 저자의 아들 광원(廣源)ㆍ술원(述源)이 수집하여 남유용(南有容)의 편차를 받아 1759년 경 운각활자(芸閣活字)로 인행한 초간본으로서 아우 문보(文輔)의 《대관유고(大觀遺稿)》가 부집되어 있다. 본집은 4권 2책으로 되어 있다. 권...

  • 任徵夏, 1844, 西齋集
    조선시대 후기
    조선 시대 서재(西齋) 임징하(任徵夏, 1687~1730)의 문집이다. 본집은 현손 천모(天模)ㆍ원모(元模)가 산일되고 남은 가장초고를 바탕으로 수집ㆍ편차한 고본을 저자의 5대손 헌회(憲晦)가 홍직필(洪直弼)의 산정을 받고 부록을 추가ㆍ재편하여 1844년 활자로 인행한 초간본이다. 본집은 8권 4책으로 되어 있다. ...

  • 徐宗伋, 간행년도 미상, 退軒遺稿
    조선시대 후기
    조선 시대 퇴헌(退軒) 서종급(徐宗伋, 1688~1762)의 문집이다. 본집은 전사경위가 분명하지 않은 괘인사본이다. 본집은 10권 5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수에 서문은 없고 각 권별로 목록이 있다. 권1은 시(詩)이다. 대개가 일상생활에서 지인들과 화운하거나 관직 생활 중의 심회를 읊은 것이다. 이 가운데 〈영회...

  • 愼守彝, 1845, 黃臯集
    조선시대 후기
    조선 시대 황고(黃皐) 신수이(愼守彝, 1688~1768)의 문집이다. 본집은 1845년 증손 필우(必祐)와 현손 재정(在正), 재성(在誠)이 홍직필(洪直弼)에게 다시 행장을 받고, 유문을 수집 편차하여 같은 해 홍직필에게 서문을 받아 목판으로 간행한 초간본이다. 본집은 8권 3책이다. 각 권별로 목록이 있다. 권1...

  • 尹鳳五, 간행년도 미상, 石門集
    조선시대 후기
    조선 시대 석문(石門) 윤봉오(尹鳳五, 1688~1769)의 문집이다. 본집은 목판으로 간행된 초간본으로 그 간행경위는 분명하지 않다. 본집은 8권 4책이다. 권두에 총목이 있고 각 권별로 목록이 있다. 권1 목록의 말미에 1764년 자신의 화상에 쓴 자찬(自贊)이 있다. 권1~3은 시(詩)이다. 시는 대부분 지인들...

  • 姜樸, 1775, 菊圃集
    조선시대 후기
    조선 시대 국포(菊圃) 강박(姜樸, 1690~1742)의 문집이다. 본집은 채제공(蔡濟恭)과 윤자 필악(必岳)이 저자의 시문을 수집ㆍ편차하여 1775년 목판으로 간행한 초간본이다. 본집은 12권 6책이다. 권수에는 채제공이 1775년에 지은 서(序)가 수록되어 있다. 권1~6은 시(詩)이다. 이 중에서 권1의 중반부...

  • 李器之, 1768, 一菴集
    조선시대 후기
    조선 시대 일암(一菴) 이기지(李器之, 1690~1722)의 문집이다. 본집은 장남 봉상(鳳祥)이 가장초고를 바탕으로 수집하여 저자의 우인 김신겸(金信謙)의 산정ㆍ편차를 받은 고본을, 부제학 조영순(趙榮順)이 1768년 운각활자(芸閣活字)로 인행한 초간본이다. 본집은 원집 2권, 부록 합 1책이다. 권수에는 김원행(...

  • 申正模, 1899, 二恥齋集
    조선시대 후기
    조선 시대 이치재(二恥齋) 신정모(申正模, 1691~1742)의 문집이다. 본집은 5대손 상헌(相憲)이 가장초고를 바탕으로 수집ㆍ편차하여 김도화(金道和)의 교감을 받아 1899년 목판으로 간행한 초간본이다. 본집은 6권 3책이다. 권수에는 1898년에 지은 김도화의 서(序)와 목록이 수록되어 있다. 권1은 부(賦),...

  • 沈師周, 1796, 寒松齋集
    조선시대 후기
    조선 시대 한송재(寒松齋) 심사주(沈師周, 1691~1757)의 문집이다. 본집은 종자 정진(定鎭) 등이 수집(蒐集)ㆍ편차(編次)한 고본(稿本)을, 저자의 손자 문영(文永)이 재편하고 부록을 추가하여 1796년 운각활자(芸閣活字)로 인행한 초간본(初刊本)이다. 본집은 4권 2책이다. 권수에는 남유용(南有容)이 176...

  • 崔成大, 간행년도 미상, 杜機詩集
    조선시대 후기
    조선 시대 두기(杜機) 최성대(崔成大, 1691~1762)의 문집이다. 본집(本集)은 저자가 자신의 시(詩)를 편차한 고본(稿本)을, 증보(增補)하여 18세기 후반 운각활자(芸閣活字)로 인행한 초간본(初刊本)으로 그 인행경위(印行經緯)는 분명하지 않다. 본집은 5권 3책이다. 각 권은 그 성격에 따라 선(選)ㆍ속(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