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성혜2016본 논문은 장소 또는 장소성이라는 지리적 범주가 가사문학에 대한 참신하고 특이한 이해나 해석의 방편으로만 인식되어서는 안 된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했다. 따라서 본고의 목적은 한국 가사문학과 장소성 개념의 긴밀한 연관성을 전제하고, 실제 작품 속에서 장소성이 예술적 형식이나 작가의 세계관을 통해 발현되는 양상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우선 어느 한 작품이나 인물을 대표로 하여 그것을 특...
-
김남윤2016본고는 누정 가사가 갖고 있는 소재의 현장성, 실재성에 주목하여 고전문학으로서 누정 가사가 지닌 문화교육적 가치를 밝히고 누정 가사의 문화적 맥락에 기반 하여 〈면앙정가〉의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고전문학은 우리의 삶과 역사가 담긴 인문학의 보고(寶庫)로서 한국인으로서의 문화적 정체성을 획득하는 동시에 학습자의 문화적 감수성과 상상력을 확장시키고, 생태적 삶에 대한 소...
-
권순열2013한국시가문화연구
-
임태정2011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의 문학 교육의 목표를 실현할 수 있는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 내의 면앙정가의 내용을 분석하여 살펴보고, 이에 따라 협동학습을 실시하였다. 고전 시가에서 교사 중심의 교수-학습의 방법을 개선하기 위하여 협동학습 이론을 탐색하고 적용하였다. 1장에서는 고전문학 교육의 문제점과 고전시가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면서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해 보았다. 2장에서는 연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