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정란2022고전과 해석Mugen is a Japanese adaptation of Gu-un-mong. Mugen was serialized in Tokyo Asahi Newspaper[東京朝日新聞] by Komiyama Tenko[小宮山天香, 1855∼1930]. The ...
-
박혜민2021東洋古典硏究〈화사〉의 형식인 ‘역사서 체재’는 소설의 서사성을 떨어뜨리는 결점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문학과 역사의 결합은 중세문학의 특징이기도 하다. 문(文)⋅사(史)⋅철(哲) 통합적 글쓰기는 가전체소설 작품에서 뚜렷이 드러난다. 〈화사〉의 문학성과 소설사적 의의는 사서체재를 규명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해야 한다. 이에 본고는 〈화사〉의 역사서 형식과 그 의미를 밝히고자 했다. 〈화사〉의 선본인 백호문집본과 조...
-
김정녀2021고전과 해석본고는 〈金華寺夢遊錄〉의 양식적 특징과 주제 의식 등을 논의하는 자리에서 종종 소외되었던 ‘金山寺創業宴錄’ 계열의 이본적 특성과 위상을 재조명한 것이다. 그간 ‘금산사창업연록’ 계열은 이본 수는 적은데 이본 간의 편차는 매우 크고, ‘金華 寺夢遊錄’이나 ‘金華寺記’ 계열에 비해 확대, 부연된 서사 단락이 많아 독특한 이본 정도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최근 ‘금산사창업연록’ 계열에 속하는 이본들이 추...
-
엄태웅2020고전과 해석이 글은 율문체가 빈번히 나타나는 〈구운몽〉 이본의 개괄적 특징과 더불어 작품의 원문(입력본)을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신자료 소개를 목적으로 하였지만, 이 자료가 수록되어 있는 문헌은 사실 신자료라는 명칭과 어울리지 않는다. 그 문헌은 바로 고전소설 연구자들에게 매우 낯익은 전집인 『?김광순 소장 필사본 한국고소설전집』?(9권)이기 때문이다. 익숙한 문헌에 수록되어 있었으면서도, 이 이본...
-
김인선2019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문학 영역 ‘문학의 수용과 생산’ 성취기준의 교육 현황을 분석하고, <심청전>을 중심으로 ‘문학의 수용과 생산’ 영역의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문학의 수용과 생산’이 분절된 활동이 아니라 통합적인 관점으로 다...
-
신동은2015〈홍길동전〉은 허균이 쓴 최초의 한글소설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작품의 내용, 주제, 배경, 사상, 표기법 등 여러 부분에서 허균의 시대에 탄생했다고 판단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허균은 또 홍길동전을 지어 수호와 비겼다(筠又作吉同傳以擬水滸)”라는 택당집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