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광열2022사회와 역사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birth dynamics in the late Joseon Dynasty by utilizing the Jeonju Yi clan’s great companion geneal...
-
박영한2020족보(族譜)는 한 집단의 혈통(血統)을 보여주는 데이터로, 조상(祖上) 이후 자손(子孫)들의 번영의 기록(記錄)이다. 족보에 대해서 논하기 전에, 이 논문은 먼저 족보의 근원이 되는 성씨(姓氏)의 시조(始祖)를 보여준다. 한국의 성씨는 중국문화(中國文化)의 유입과 함께 시작 하였다. 한국은 중국과 활발하게 교류를 하였던 삼국시대(三國時代)이후에 성씨를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왕족(王族)과...
-
김형수2019한국사학보Not only paternal line but also maternal line were very important during Koryo Dynasty and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Additionally, ...
-
김성오2017합천 지역의 양반이었던 河渾이 1606년 편찬하고 1608년에 교정한 『晉陽河氏世譜 - 萬曆本』(이하 『진양하씨세보』)를 바탕으로 하여 17세기 향촌사회에서 양반의 혼인관계를 살펴보았다. 혼인관계에서 더 나아가 지방의 양반이 중앙과의 관계에 있어서 어떠한 모습을 보이고자 했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이미 기존 연구에서 족보에 대한 역사적 변화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 왔다. 더불어 내외손을 모두 중시하...
-
박수영2016식민주의가 남긴 유산을 따져 물으며 새로운 문화적 정체성을 세우고자 하는 포스트식민주의는 오늘날 복합적인 과제를 안고 있다. 과거 식민주의가 남긴 정신적인 유산의 극복과 함께, ‘문화제국주의’라고 불리는 오늘날의 비가시적인 문화적·경제적 종속 관계에 저항해...
-
한상우2015조선후기의 특징으로 주목받아 왔던, 부계 친족집단은 확대와 분화를 계속하여 항상적인 형태를 유지할 수 없었다. 친족집단의 이러한 특징에도 불구하고 조선후기 친족집단은 하나의 조직체라는 이미지를 얻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조선후기 부계와 비부계 친족들이 어떠...
-
윤현숙2008열상고전연구한국학의 연구대상으로서 가계기록에는 ‘족보’가 있고 족보는 史的인 관심 안에 있었다. 연구의 역사와 추이를 생각했을 때 텍스트의 일반화는 지나치게 고답적이라고 하겠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이러한 사고의 定型에 새로운 경향을 일으킬 수 있는 계기의 마련이다. 가계기록의 체계는 보다 더 조직적이며 족보의 영역은 역사의 틀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家乘’이라는 가계기록의 문학적 조명은 인...
-
오기주2007나주오씨 족보의 형성에는 기본적으로 중국 족보의 역사와 성씨의 유래가 근간이었음을 밝히고 족보발간의 의의와 목적에 대해 족보서문을 통해 검토하였다. 초기족보에 대한 깊은 연구는 적은 편이지만 오히려 조선조에 다양한 각도에서 족보제작과 연구가 진행되었음을 ...
-
이건천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