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윤경2017한국사진지리학회지본 연구는 몰타의 역사문화자원에 대해 고찰하고 종교, 문화를 통해 도시경관의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몰타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제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몰타의 지리적 입지와 역사에 주목하여 몰타가 언어, 종교, 건축양식 등 문화를 수용하고 재구성...
-
한순미2017한국민족문화근대 이후 한국 한센인들이 남긴 증언과 역사 기록, 문학작품, 그리고 잡지 ≪새빛 The Vision≫에 수록된 자료들은 그동안 충분하게 드러나지 않은/못한 한센인들의 삶과 역사를 읽을 수 있는 소중한 유산이다. 그런데 이 ‘추방된 자의 삶’(조르조 아감벤)의 기록에서는 하나의 목소리가 아니라 누구의 것인지 밝힐 수 없는 목소리들이 겹쳐 들린다. 이것은 ‘서발턴은 말할 수 있는가?’(가야트리 스피...
-
박수영2016식민주의가 남긴 유산을 따져 물으며 새로운 문화적 정체성을 세우고자 하는 포스트식민주의는 오늘날 복합적인 과제를 안고 있다. 과거 식민주의가 남긴 정신적인 유산의 극복과 함께, ‘문화제국주의’라고 불리는 오늘날의 비가시적인 문화적·경제적 종속 관계에 저항해...
-
이종찬2013본 논문은 황병기의 작품 중 가야금을 사용한 악곡들의 양식 변화에 대한 연구이다. 가야금 독주는 물론 장구 반주를 동반하거나 대금, 성악 등과 함께 편성된 작품들까지 살펴보되, 1962년의 작품 <숲>부터 2001년 작품인 <추천사>를 그 범위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양식은 작곡가가 전통을 작품에 적용하는 방식으로 판단하였는데, 그 방법론으로 혼종성(混種性; hybridity...
-
이성혁2012한민족문화연구1930년대 이후 문단에 등장한 ``향토`` 담론은 고향(native land)이라는 ``순수 공간``을 상상적으로 구축하려고 했다. 이는 식민지 근대성이 초래하는 혼종성과 구조적 갈등을 은폐하는 성격이 있었다. 초기 김조규 시 역시 고향을 재구성하는 양상을 보여주었지만 그는 고향을 향토성이 파괴된 공간으로 드러냈다. 이러한 폭로는 식민 권력의 착취적성격을 비판한다는 의미를 가지는 것이었다. 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