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희영2022일본어문학This study is based on the minutes and directives V.1/V.2 through 40 meetings of The Committee on Legal Status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of ...
-
김계자2021아시아문화연구본 논문은 영화 〈박치기!(パッチギ!)〉에 그려진 재일조선인의 삶을 통해 한반도의 남북과 일본의 관계성이 재편되는 1960년대에 주목하고, 한일과 북일이라는 2개국 관계를 넘어 ‘남북일(南北日)’이라는 층위의 포괄적인 시좌(視座)에서 남북 분단을 넘는 재일(在日)의 지향점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일본은 북한과 1959년부터 ‘귀국사업’을 시작하여 1960년대 초반에 7만 명이 넘는 재일조선인이 북한...
-
이상록2018한국학연구이 연구는 1960년대 한국 미디어 분석을 통해 1965년 한일 국교 수교 전후에 한국사회가 일본을 어떻게 인식했는지를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일본은 1910년부터 1945년까지 한국을 식민통치하였고, 해방 이후의 한일관계는 제국-식민지 관계에 규정되었다. 한국인들을 매우 강한 반일감정을 갖고 있었고, 이는 민족주의와 결합되어 대한민국 수립 이후 국민정체성을 구성하는데 크게 활용되었다. 제2차...
-
이은경2017외법논집In 1965, the Republic of Korea agreed to normalize diplomatic relations with Japan, which had been cut off after liberation in 1945, and finall...
-
최희식2016東北亞歷史論叢2000년대 중후반 이후 한국과 일본에서 대량의 외교문서가 공개되면서 한일협정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늘어났다. 그 질적 수준 또한 높아졌다. 그동안 단편적인 1차 자료와 회고록 등에 의존하던 연구가 질적인 도약을 이룬 것이다. 동시에 그동안 역사학자 및 정치학자가 중심이 되던 한일협정 연구가 국제법적 연구로 확장되었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지평도 확장되었다. 동시에 그동안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지...
-
공임순2015상허학보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backwardness and the anti / system discourse of independence of Korea Society in the 1960s and 1970s as ...
-
민유기2015사총이 글의 목적은 1960년대 한국의 대외정책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였던 1965년 한일협정에 따른 한일 국교 정상화에 대해 프랑스가 어떤 인식을 하고 있었고, 어떤 시각을 보이고 있었는가를 프랑스 외무부문서보관소에 소장중인 외교문서와 당시 프랑스의 대표적인 언론 자료를 통해 분석하는 것이다. 프랑스의 3대 일간지는 한일협정과 관련해 1964년 한일협정 반대시위를 가장 많이 다루었다. 이들 기사를 제...
-
신주백2009한일관계사연구지유샤판 역사교과서는 2006년도 ‘후소샤판의 완전 복제품’이다. ‘새역모’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8종의 역사교과서가 한중예속사관, 구미추수사관,공산주의찬양사관에 빠져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새역모는 이번 교과서에서 세련된 편집방식과 교묘한 논리전개 속에서 천황중심사관, 전쟁미화사관을 적극 내세우고 있다. 그들이 이렇게 역사교과서를 통해 역사를 왜곡하는 궁극적인 목표는 제9조를 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