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민정2022한국문학이론과 비평Topophilia in Lee Tae-jun's work is the place of restoration of sovereignty that all Koreans who were colonized aspire to. His desire to return...
-
이경훈2022사이Lee Hyo-seok’s early texts showed a kind of the proletarian literary orientation, and therefore Park Young-hee named him “a fellow traveler wri...
-
박태옥2020동서철학연구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개화기는 주체와 타자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국면을 맞은 시기였다. 이에 위정척사파의 최익현과 개화파의 유길준의 사상을 중심으로 주체와 타자에 대한 인식 양상을 고찰하였다. 최익현 철학에서 주체와 타자 문제를 ‘벽이단(闢異端)’과 ‘존화양이(尊華攘夷)’의 두측면을 통해 살펴보았는데, 먼저 그에게 있어 중국은 타자가 아니라 소중화 의식으로 내면화된 타자, 다시 말해 주체 ...
-
고은미2019본 연구는 자이니치를 테마로 한 오시마의 영화들을 통해 밀접하게 관련된 두 가지를 해명하고자 한다. 하나는 오시마의 초기 다큐멘터리가 정치적․윤리적 올바름을 목표로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타자 표상의 외설성과 폭력성을 내재하고 있음을 밝혀내는 작업이다. 이들 영화 속에서 오시마는 이미지적 포섭 혹은 언술적 호명의 방식을 통해 타자를 주체 앞으로 소환하고자 하는 욕망을 드러낸다. 하지만 오시마는 ...
-
홍나래2018口碑文學硏究홍순언 이야기는 여러 야담집에 소개되었고, 다수의 개인 문집뿐만 아니라 백과전서나 사서, 외교문서, 지리지까지 실리며 역사로도 인식된 주목할 만한 작품이다. 본고는 기존 연구들을 토대로 홍순언 이야기가 성행하게 된 원인과 배경을 살펴보면서, 당대 사회가 홍순언을 윤리적 주체로서 강렬하게 표상화한 데에 주목하였다. 홍순언 이야기는 외교 무대를 배경으로, 선비와 여인의 은혜와 감사, 이로부터 조선의 ...
-
Kim, Kyung Hoi2014A Study on a Multicultural Method for Reading Korean Classical Novels and a Plan to Apply It Kim, Kyunghoi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
-
이희수2014This thesis discusses the korean people's consciousness of women, especially wives, and how it was reflected and enjoyed in the classical narra...
-
김성욱2013동아시아 문화연구이 글에서는 만주사변이후 당대의 지배담론인 ``五族協和`` 담론 자장 속에서 중국인을 형상화한 작품을 중심으로 소설 속 중국인 형상의 변화양상을 조선인과의 관계 속에서 살펴보고, 중국인 형상의 변화양상이 지배담론에 어떤 역할을 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중국인 타자에 대한 조선인의 정형화는 다중적이고 모순적인 것으로 차이를 제공하는 동시에 차이를 부인하거나 가면으로 가린다. 이는 정형의 충족성이 항상...
-
이성혁2012한민족문화연구1930년대 이후 문단에 등장한 ``향토`` 담론은 고향(native land)이라는 ``순수 공간``을 상상적으로 구축하려고 했다. 이는 식민지 근대성이 초래하는 혼종성과 구조적 갈등을 은폐하는 성격이 있었다. 초기 김조규 시 역시 고향을 재구성하는 양상을 보여주었지만 그는 고향을 향토성이 파괴된 공간으로 드러냈다. 이러한 폭로는 식민 권력의 착취적성격을 비판한다는 의미를 가지는 것이었다. 하지...
-
신정숙2012이 논문의 목적은 김동리의 1930~1970년대의 소설들에 나타난 근대인의 분리의식의 양상과 이러한 분리의식으로 인한 절망과 고통, 그리고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열망이 “신화적 상징의 상상력”, “시적 상징의 상상력”, “물질적 상상력”에 의해 하강(추락)/상승의 이미지로 형상화 되는 양상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는 김동리가 문학적 상상력을 통해서 근대인의 분리의식에서 발생하는 불안과 공포를 극복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