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정빈2021역사와 교육현행 역사교과서의 한국사 체계를 검토하고 그 계보를 추적하였다. 특히 고대사 체계에 주목하였다. 현행 역사교과서는 「고대사-중세사-근대사-현대 사」의 시대구분 속에서 「고조선-여러 나라-삼국-남북국」의 고대사 체계를 공 유하고 있다. 이 중에서 고조선과 여러 나라는 선후 계통으로 설명된다. 청동 기시대 고조선을 철기시대의 여러 나라가 계승하였다고 하였다. 청동기시대 여러 나라의 국가형성과 다양한 ...
-
심은석2021기초조형학연구Graffiti gave a glimpse of the situation at that time, It was a means of expressing oneself, with the purpose of communicating the records and ...
-
안홍선2015한국교육사학식민지시기 중등학교의 여러 교과목 가운데 수신, 일본어, 역사, 지리 등은 ‘국민성’ 양성과 관련된 핵심과목으로 분류되었고, 이후에 도입된 공민과도 이에 해당된다. 검인정교과서제도를 채택하고 있던 일본에서와 달리, 조선총독부는 이들 과목의 교과서만은 ...
-
조대하2013인문논총1965년 한일국교정상화를 전후해 대학에서 일본어과가 신설되어 일본전문가를 양성하기기 시작한 이래, 대학의 일본어교육은 일본의 경제성장과 국제화의 분위기 속에서 학습자수가 증가해갔으며 2001년의 일본문화 전면개방으로 전성기를 맞이했다. 그러나 일본의 장기적인 경제 불황과 2011년 동일본지진 이후 방사능 오염사태를 비롯해 외교관계 악화 등의 영향으로 최근 일본어학습자수가 급격히 감소하는 현상을 ...
-
안종욱2012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현재까지 알려진 것과는 달리 고등학교 ‘경제지리’는 해방 직후 교수요목기에 이미 교과서가 발간되었으며, 문교부의 인정심의를 받아 학교 현장에서도 사용되었다. 또한, ‘경제지리’ 내용은 1950년대에는 대학입학 검정고시, 고등고시 행정과 등 각종 시험에서도 ...
-
최성환2010본 논문은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광복 이후 제7차 교육과정기까지의 교육과정과 고전소설의 변천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 고전문학교육에 대한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Ⅱ장과 Ⅲ장에서는 교육과정별 특징과 방향 그리고 교과서에 수록된 고전소설 작품들을 분석하였다. 과도기시절은 일제의 억압에서 벗어나 우리말과 글을 되찾는 것이 목표였다. 한국전쟁으로 문학자체의 예술성보다는 애국심과 민족...
-
정우락2005퇴계학과 유교문화본 논의는 (1) 영남지역의 유교문화와 그 특징을 파악하고, (2) 이 지역의 대표적인 유교적 문화유산에 대한 현장론적 접근을 시도한 다음, (3) 여기에 기반하여 영어강의가 포함된 새로운 개념의 통합ㆍ연계형 교육과정을 개발하자는 의도에서 기획된 것이다. 이것은 우리의 학문현실이 전문성이라는 미명 하에 학문이 지나치게 세분화 되어 있는 점을 비판적으로 자각하고 학제적 교섭에 따른 새로운 교육모형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