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신사 이예와 김구경을 구호한 평좌위문 등에게 쌀 ․ 의복 ․ 갓 등을 하사하다.
처음에 상호군 윤인보(尹仁甫) 등이 아뢰기를,
“이제 온 적의 괴수 평좌위문(平左衛門)은 전날 제주도를 지날 때에 비록 먹을 것이 떨어졌으나 조금도 도둑질을 하지 않았습니다. 성심이 가상하오니 우대하옵기를 청하며, 적의 우두머리 중미탄정(中尾彈正)과...
-
대마주 종정국의 사송인들이 토물을 바치다.
대마주 종정국(宗貞國)의 사송인과 왜 호군(倭護軍) 정대랑(井大郞) 중미탄정(中尾彈正) 등이 와서 토물을 바치었다.
-
향을 올린 왜인 종정국에게 예물을 하사하다.
향(香)을 올린 왜인 종정국(宗貞國)에게 백면포(白綿布) 3필, 면주(綿紬) 4필을 회사하고, 정대랑(井大郞)․중미탄정(中尾彈正)․화지난쇄모(和知難洒毛)에게 백면포(白綿布) 각 3필, 면주(綿紬) 각 3필씩을 회사하고, 등구랑(藤九郞)에게 백면포(白綿布) ...
-
왜호군 중미탄정의 아들 삼미구라 등이 토물을 바치다.
왜호군 중미탄정(中尾彈正)의 아들 삼미구라(三未仇羅) 등 세 사람이 와서 토물을 바쳤다.
-
종성직 ․ 종정성 등이 사람을 보내 휘덕전에 향을 바치다.
종성직(宗盛直)이 보낸 인서기(隣書記) 등 세 사람과 종정성(宗貞盛)이 보낸 무라야마(無羅也亇)·노사마(老沙亇)·노수계(老愁桂) 등 네 사람과 조전언팔(早田彦八)·평무지(平茂持) 등 세 사람, 삼보라쇄모(三甫羅洒毛) 등 두 사람, 중미탄정(中尾彈正)의 아들...
-
의정부에서 왜에서 장차 올 사인에게는 상복을 주지 말 것을 청하다.
의정부에서 예조의 정문에 의거하여 아뢰기를,
“왜호군(倭護軍) 평무지(平茂持)가 스스로 말하기를, ‘일찍이 대국의 관직을 받았으니 복상하기를 원하며, 데리고 온 변시라(邊時羅) 등 7인도 또한 상복 주기를 청합니다.’ 하였는데,...
-
대마주의 왜호군 중미탄정이 토물을 바치다.
일본국 대마주의 왜호군(倭護軍) 중미탄정(中尾彈正)이 와서 토물을 바쳤다.
-
대마주 왜호군 중미탄정 등이 경희전에 향을 바치다.
일본국 대마주(對馬州) 왜호군(倭護軍) 중미탄정(中尾彈正) 등이 경희전(景禧殿)에 향을 바쳤다.
-
일본국 대마주 왜호군 중미탄정이 와서 토물을 바치다.
일본국 대마주(對馬州) 왜호군(倭護軍) 중미탄정(中尾彈正)이 와서 토물을 바치었다.
-
일본국 일기주 ․ 대마주에서 토물을 바치다.
일본국 일기주(一岐州) 상송포(上松浦) 호자(呼子) 원고(源高)가 사람을 보내어 와서 토물을 바치고, 대마주(對馬州)의 중미탄정(中尾彈正) 평성수(平盛秀) 등도 또한 와서 토물을 바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