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직 정숭립 등이 왜적을 잡는 계책을 진술하다.
사직(司直) 정숭립(鄭崇立) 등이 왜적을 잡는 계책을 진술했는데,
“1. 전함이 바다에 있는 고기 잡는 배들 가운데에 끼어 있으면서 해구를 꾀어내어, 수륙 복병으로 앞뒤를 쳐서 잡는 것이요,
1. 도만호로 하여금 경쾌한 배를 ...
-
왜인을 잡아 죽인 제주도인에 대한 상의 수여 여부를 의논하다.
상참을 받고, 정사를 보았다.
병조판서 최윤덕(崔閏德)이 아뢰기를,
“이번에 제주에서 왜인을 잡은 사람은 신의 생각으로는 논공할 수 있었을 것으로 봅니다. 이 왜인은 갑옷과 병기 등의 전구(戰具)가 없었으니 해적의 선박으로 논할...
-
이조에 명을 내려 박호문 등을 국문케 하라고 하다.
이조에 명을 내리어,
“다시 김흡(金洽)을 제주안무사(濟州安撫使)에 임명하고, 소윤(少尹) 박호문(朴好問)·판관 이줄(李茁)을 형조에 내려 국문하라.”
하였다. 호문이 제주에서 돌아와서 병조에 보고하기를,
“제가 그 장제...
-
제주도 안무사 김인이 잡은 왜인들을 죽일 것을 치보하다.
제주도 안무사 김인(金匪)이 치보(馳報)하기를,
“진무(鎭撫) 박원의(朴元意) 등을 보내어서 작은 배 25척을 거느리고 여러 섬에서 왜적을 수색하다가, 주자도(舟子島) 남쪽 큰 바다에서 왜적의 중선 1척을 만나 쫓아가서, 작은 배 14척으로 추격하여...
-
병조에서 제주에서 나포한 왜구들을 신문한 후에 크게 징벌할 것을 아뢰다.
병조에서 아뢰기를,
“제주에서 나포한 왜구들을 신문하여 주자도 등지로 나온 이유와 공모하고 나온 배의 수효와 살고 있는 지명과 그 전에 도적질한 지방 등을 안 연후에 제주 사람들의 소원에 따라서 크게 징벌하는 것이 어떠할까 하옵니다.”...
-
제주선위별감 윤처공이 왜인을 포착한 각인의 공로를 등급대로 아뢰다.
제주선위별감(濟州宣慰別監) 윤처공(尹處恭)이 제주에서 왜인을 포착한 각인의 공로를 등급대로 계달하였다.
-
인수부 소윤 이길배가 제주 ․ 진도 등 남해안 섬들의 왜인에 대한 방어 대책을 상서하다.
인수부소윤(仁壽府少尹) 이길배(李吉培)가 상서하기를,
“제주는 토양이 부허(浮虛)하여 갈마들며 묵혔다가 다시 갈고 종자를 뿌려야만 가을걷이의 희망이 있사온데, 오늘날 사람은 많고 땅은 좁아, 비록 풍년이라 하더라도 오히려 해채(海菜)·상수리[橡實] ...
-
제주도 방어용으로 현자철령피 영전과 황자진령피 영전 등을 주다.
병조에서 제주안무사의 정계에 의거하여, 제주․정의(旌義)․대정(大靜) 등 고을에 방어소용(防禦所用)인 현자철령피(玄字鐵翎皮) 영전(翎箭)․황자진령피(黃字鎭翎皮) 영전(翎箭)․금촉(金鏃)․주화(走火) 등물을 주기를 청하므로, 그대로 따랐다.
-
제주에서 왜구를 잡아 공을 세운 자에게 상을 내리다.
병조에서 아뢰기를,
“제주에서 왜구를 잡아 공이 있는 사람 중에 1등은 원직이 부사정(副司正)인 사람을 사정으로 승진시키고, 학생(學生)은 대장을 주고, 2등은 학생은 대부(大副)를 주고, 3등과 격군은 각각 쌀 2석, 면포(綿布) 2...
-
적인을 체포하여 바친 대마주 태수 종정성에게 포상하다.
대마주태수 종정성(宗貞盛)이 사람을 보내어 치서하기를,
“지난 갑인년 9월 사이에 본도 사람 대랑(大郞) ․ 이랑(二郞) 등이 나의 문인을 받지 않고 귀국의 전라도 등처에 이르러 인물을 살해하고 왔으므로, 지금 대랑과 이랑의 머리를 베어서 보내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