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기호2022哲學硏究이 연구는 정약용丁若鏞(1762~1836)의 『악서고존樂書孤存』을 통해 중국과 한국을 중심으로 하는 동양의 고대 ‘악론樂論’을 성찰해보려는 시도이다. 고대로부터 한자와 유교를 공유한 문화권에서는 음악을 단순히 유희의 대상으로 삼지 않고 인간의 내면과 관계되는 것으로 인식하였으며, 그것이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공효功效에 주목하였다. 고대인들은 ‘악樂’이 인간의 내면으로부터 나오는 것으로 간주하고 이...
-
서영이2022동방문화와 사상This paper presents an attempt at rethinking Confucianism of Korea “here and now” by analyzing Silhak in late Joseon as it shows a dynamic self...
-
김윤경2022한국 철학논집This paper attempts to understand the response and changes of Confucianism in the transition period by examining the trends and change of the i...
-
송수진2020한국학논집Kim Jeong-hui (1786∼1856), otherwise known as Chusa, was a Silhak scholar and writer who emphasized Silsagusi, which means seeking truth ground...
-
최주희2018韓國思想史學17세기 이래 『지봉유설』은 관찬 연대기사료 뿐 아니라 개인의 문집과 유서류, 사찬 역사서의 편찬에 다양하게 활용되었다. 관찬 연대기류나 사찬 역사서의 경우 역사적 사실 관계를 명확히 고증하려는 목적으로 인용한 데 반해, 개인 문집이나 유서류의 경우,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와 같은 예외적인 사례가 있기는 하지만 단편적인 사실을 채록하여 편의에 맞게 인용한 경우가 많다. 『지봉유설』을...
-
김용흠2016한국민족문화조선후기에 당쟁으로 칭해지는 정치적 갈등이 격렬하게 전개되어 사적(私的) 권력욕과 은원(恩怨) 관계에 따른 모략과 음모가 난무한 것은 사실이었다. 그렇지만 대내외적으로 국가가 당면한 위기를 극복하려는 방안을 모색하는 관인(官人)·유자(儒者)들 또한 당색을 넘어서 존재하였다. 이들이 자신들의 새로운 국가 구상을 체계화 한 것이 조선후기 실학이었고, 그것을 실현하기 위해 제출한 정치론이 탕평론이었다....
-
안점식2016ACTS 신학저널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에 대한 관심은 조선 말(末) 이후 오늘날까지 한국 사회에서 강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다산의 실학사상에 나타나는 세계관의 변화와 그 요인을 살펴보면서 기독교세계관과 다산의 사상을 비교해보는 것이다. 또한 이 논문은 세계관의 스펙트럼의 관점에서 불교, 성리학, 실학, 다산학, 기독교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의 특징을 살펴본다. 이 논문은 이러한 세계관 변화에서 ...
-
임태홍2015동양문화연구이 연구는 최한기가 주자학과 실학적인 전통위에 자신의 학문세계를 구축한 점을 주목하고 니시 아마네의 경우는 일본 고문사학파의 학문, 즉 소라이학적인 전통 위에 학문을 구축하였다는 점을 주목하여 두 사람의 학문세계를 비교, 고찰하였다. 조선의 실학과 일본 에도시대의 소라이학은 모두 주자학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학문으로, 실학은 주자학의 큰 틀과 사상체계를 거부하지 않았으나, 소라이학은...
-
이성문2014실학은 조선 주자학을 원류로 한 근대 지향적인 새로운 사상영역으로서 평가받고 있다. 조선시대 주자학이 내면주의적인 경향, 관념주의 철학, 형이상학, 명분과 의리 그리고 전통을 중시하는 윤리지향적인 면을 취하였다면 실학은 주자학에서 경시하였던 농·공·상(農·工·商)과 같은 현실사회의 객관적 측면을 다루는 등 실용성, 객관성, 합리성과 논리지향적 가치체계를 취하였다고 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임진왜란...
-
김영우2014율곡학연구실학의 집대성자로 평가되는 다산 丁若鏞(1762-1836), 그의 사상적 연원을 퇴계 李滉(1501-1570)과 율곡 李珥(1536-1584) 가운데 어느 쪽에 둘 것인가 하는 문제는 그 동안 학계에서 논쟁거리가 되었다. 본 연구는 다산의 실학 사상을 율곡 또는 퇴계 어느 한쪽의 영향으로만 보려는 것은 후대의 당파적 시각을 반영한 것이라는 입장에서 다산의 율곡과 퇴계의 사상에 대한 비판과 계승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