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왕모2012한국선학근현대의 선승으로 한평생 참선수행과 중생교화의 삶을 살았던 경봉선사의 선사상을 보조국사의 선사 상과 비교하여 고찰해보았다. 종밀의 선종에 대한 분류에 의거하면 경봉의 선관(禪觀)은 직현심성종(直顯心性宗)의 입장이다. ‘심성 을 곧장 드러내는 종파’의 측면에서 …
-
박태원2012불교학연구지눌의 돈오점수를 비판하고 돈오돈수를 천명한 성철의 돈점론이후 전개된 돈점 논쟁에서, 그 핵심 논점은 결국 상호 연관된 두가지 질문으로 요약된다. ‘지눌이 설하는 해오(解悟)로서의 돈오를지해(知解)로 간주할 수 있는가?’하는 것이 그 하나이고, ‘지눌의돈오를 …
-
오항녕2012泰東古典硏究본고에서는 18세기 조선에 살았던 존재 위백규(存齋 魏伯珪, 1727~1798)의 격물치지(格物致知)에 대한 견해와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위백규는 자신의 문집인 『존재집(存齋集)』의 4권(12권~15권)에 걸쳐 「격물설(格物說)」이라는 논설을 남겼다. 이 …
-
박병기2012윤리교육연구지눌은 한국불교의 수행 전통에서 돈오점수론을 확립한 승려이며, 다양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현재 한국불교계의 사상적 뿌리를 이루는 중요한 인물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그의 돈오점수론은 깨달음 이후에도 지속적인 닦음이 요구된다는 '오후수(悟後修)' 개념으로 집약…
-
임승택2011印度哲學지눌의 돈오는 해오로서 이지적인 성격을 지닌다. 그러나 그것은 단순히 문자적 이해에서 그치지 않으며 본성에 대한 깨달음 자체를 의미한다. 그러한 돈오란 사실상 증오와 동일한 내용이라고 할 수 있지만 개인적인 성향과 습기가 남아있는 한에서 증오와 구분될 뿐이다.…
-
이진영2011한국선학조선시대 불교는 숭유억불 정책으로 거의 침체되었지만, 17세기에 履歷課程이 정비된 후, 그 내용을 교육하고 이해하기 위한 講學과 私記 편찬이 성행하였다. 조선후기의 수많은 사기를 편찬한 승려 가운데 연담유일은 講經과 私記 편찬의 가장 대표적인 인물이라 할 수 …
-
송묵2011한국선학중국의 선사상은 육조 혜능(六祖慧能)에 의하여 중국 땅에 확고히 정착되었으며 그의 제자들에 의하여 번창하여 5가 7종으로 분화되었다. 혜능이후 수많은 선사들이 출현하여 선사상을 발전시켜왔지만 그중에서도 마조 도일(馬祖道一)과 임제 의현(臨濟義玄) 및 조주 종심(趙州從諗) 그리고 대혜 종고(大慧宗杲)의 선사상이 중국불교와 한국불교에 가장 큰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육조 혜능의 제자인 남악 회양(…
-
최용운2010한국선학오늘날 간화선은 한국불교계의 대표적 수행법으로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간화선을 태동시킨 중국을 포함해 세계 어느 국가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현상이다. 간화선에 대해 논할 때 창안자인 대혜종고와 국내에 간화선을 처음 소개한 보조…
-
이상호2010불교학연구기존 연구에서 간화선의 의정은 화두에 대한 의정으로만 간주하고 연구되어져 왔다. 이 논문에서는 주체적 의정과 의도적 의정으로 나누어서 고찰하고자 한다. 주체적 의정은 생사와 같은 근원적인 문제의식이고 그 특징은 번뇌성이다. 의도적 의정은 화두에 대한 의정이며 …
-
이병욱2009한국선학이 논문에서는 ??운봉선사 심성론??을 '유불일치'와 '선교일치'라는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운봉은 ??유석질의론??을 인용하면서 유불일치를 주장하지만 제한적으로 '불교우월론'을 제기한다. 그렇지만 전체적으로 보자면 논의의 흐름은 유불일치에 있다. 운봉은 선교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