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기현2020남도민속연구Jeong Yak-jeon, a practical scholar of the late Joseon Dynasty, lived in Sari Village, Huksan island. He recorded fish and seaweed that lived in …
-
김은혜2014본고의 목적은 백제 직구단경호를 통해 토기 양식(style)의 유사도를 가지고 고고학 자료의 시공간적인 거리를 측정하던 기존의 연구 방법론을 검토하고 양식을 이용한 물질자료 분석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제시하는 데 있다. 양식(style)은 고고학 연구에 있어…
-
장성규2012Abstract A Study on the cognition of 'hsiao-shou(小說)' genre in late 1930's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describe and analyze t…
-
심현용2010문화재본 고는 조선시대 왕실의 태실에 유존하는 태실 석함(이하 태함)의 현황을 살펴보고, 제작연대를 바탕으로 형식을 분류하여 고고학적인 태함의 양식을 설정하고 그 편년을 시도한 것이다. 태함은 태실을 처음 조성할 때 매납하는 유물이지만 명문이 각자되지 않으므로 태함 자체만으로 연구하기에는 큰 어려움이 따른다. 하지만 태실 조성 시 함께 제작하는 태지석과 아기비의 명문을 찾아 살펴보고 문헌기록을 대조하여 그…
-
강대인2005The Travel-Gasa(紀行歌辭) of Mt. KumGang is a literature written by the authors who traveled through NaeKumGang, OeKumGang, and HaeKumGang by themsel…
-
정경화2004Buddhistic Arts are the objects of worship and have important meaning of playing a religious role expressing ideologies and thoughts as well as d…
-
송수진2001불화는 조상(彫像)과 함께 예배(禮拜) 대상이 되기도 하였으며 사원(寺院)을 꾸며주고 불교사상을 전하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불화로 사원을 꾸며주고 불자(佛者)들이 사원에 와서 불상(佛像)에 예배하며 소망을 빌었는데 이때 그들의 불교에 대한 이해를 돕는 것이 불화의 기능이었다. 그러나 불화(佛畵)는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예술로서의 가치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종교적 이념과 감성을 표현하는 예술이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