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수빈2020문학은 곧 유토피아다. 작가는 시대 배경 속에서 일종의 결핍을 인지하고, 원하는 형태와 방식에 따라 유토피아적 목적을 달성한다. 한국 고전 속에 유토피아는 ‘신시’와 ‘홍익인간’ 등의 설화에서부터 전설, 민담, 시조, 가사, 소설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나타나며, 그 양상은 변모한다. 고전을 통한 유토피아의 비교 고찰은 현실 통찰 능력과 상상력의 확장, 현실과 이상 사이의 적당한 거리감 형성, 선인들…
-
고연희2013한국문화연구〈강산무진도(江山無盡圖)〉라는 제목으로 전하는 이인문(李寅文) 필 산수화는 8미터가 넘는 두루마리의 ``규모``와 이 규모의 산수장관 속을 파고드는 현실문명의 ``의미``로 조합된 새로운 차원의 그림이다. 이 그림 속 산수장관은 기관(奇觀)의 절경(絶景)을 추구한 당시의 산수미학을 반영한 극치의 산수경관이면서 동시에 현실 문명의 배경이라면, 이 그림 속 현실문명은 18세기 학자들이 주장하고 국왕 정조…
-
이민진2011본 논문은 東洋 繪畵의 유토피아적 세계를 硏究한 것이다. 유토피아 즉 이상세계에 대한 주제는 동서양 문화사에서 다양하게 관심을 받아왔고, 현재까지도 예술가들에게 창작동기의 원천을 주어왔다. 유토피아의 개념은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이상향의 세계로 토마스 모어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