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도흠2022古典文學硏究The present writer investigated interferences and overcoming in the communications of classical literature through the methodology of Hwajaeng-se…
-
조재형2020語文論集이 연구의 목적은 특정 시기의 우리 사회를 지배한 이데올로기의 변화에 따른 ‘방언’의 개념 변화를 개념사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선행연구들에서는 ‘方言’의 원의미와 우리 사회에서의 개념 변화를 도외시했으며, 우리나라에서 사용된 ‘方言’의 의미를 중국 중심의 관점에서 이해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이 글에서는 우선, ‘중국 고전에 사용된 관련 어휘의 의미를 파악하여 方…
-
오춘영2020문화재문화재 인식의 출발점이 되는 문화재 ‘선택’에는 당시 지배 권력의 문화적 이데올로기가 반영된다는 가정을 세웠고, 이를 20세기 한국의 사례를 통해 증명하였다. 먼저 대한제국 후기(1901~1910)에는 조선시대부터 가져오던 과거 유적들에 대한 관점을 거의 유지하고 있었다. 국가 가 중요하게 보호하려 한 대상은 왕릉과 왕실기록물들이었다. 이 시기에 한국 유적들에 대한 일본인들의 조사가 본격적으 로 시작…
-
이병군2019본고에서는 이문열의 소설 전반에 투영되어 있는 ‘동양적 복고주의’ 의식을 세밀히 분석함으로써 그의 작품세계를 보다 이해 가능한 텍스트들의 연쇄로 환치해 종합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작가의식은 다면적 양태로 형상화되어 있는 개별 작품들에 통합적 원리를 부여하거나…
-
문진옥2017본 논문은 소설과 영화의 장르별 비교와 의미구성 차이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중 한국과 일본의 일제강점기 시대적 상황을 ‘덕혜옹주’라는 실존 인물에 초점을 맞춰 구성한 소설 '덕혜옹주'와 영화 '덕혜옹주‘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했다. 특정한 시대의 배경을 현 시대에 맞춰 재조명할 때 재현하는 각 장르의 인물관계 및 담론 생성이 갖는 의미를 살펴보고 사회적 함의에 대해 논의 하고자 했다. …
-
박소영2016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youth perspective has been formed and changed through a discourse analysis in accordance with each political…
-
이동규2015동북아연구본 논문은 중국 공산당과 통치 이데올로기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현대신유학(現代新儒學)의 발전과정과 그 이데올로기적 역할을 연구함으로써, 현대신유학이 어떻게 중국 공산당의 새로운 통치 이데올로기로 발전하였는가, 그리고 중국의 사회주의 정치체제의 변화를 창출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가에 대한 해답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저자는 중국 공산당이 통치 이데올로기를 변형하고 효과적으로 이…
-
박영일2014본 논문은 한민족 대중가요 가사에서 나타나는 어머니상을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논문의 대상인 한민족을 한반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 남한과 북한, 중국 조선족으로 하여 각각의 대중가요에 대한 개념 및 범주를 추적하였다. 이를 통하여 서로 대중성에 대한 개념이 다름을 발견하고, 어머니상에 대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대중문화는 문화라는 그 자체의 넓고 심오한 다양한 영역을 접목하고 있기 때문에 바로 정의내리기…
-
박춘란2013한민족문화연구박선석은 당대 중국 조선족문단의 대표적 작가이다. 박선석의 작품은 주로 중국현당대사의 비극을 조선족농민의 입장에서 담아내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이전의 조선족문학에서 찾아볼 수 없었던 인물 군과 특유의 미학으로 독특한 작품세계를 형성하였는데 주로 이념과는 아무런 관계도 없는 농민들이 당하는 수난과 참극을 역사의 전개과정과 결합하여 형상화하면서 그것에 대한 고발뿐만 아니라 이를 초래한 근원에 대…
-
하상일2011한민족문화연구이 논문은 재일 디아스포라 시인 김학렬을 연구한 것이다. 김학렬은 해방 이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역사에서 허남기, 강순, 남시우를 잇는 2세대로서,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이론적 토대를 정립하는 데 기여한 비평가인 동시에,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전개 과정과 변화양상을 통체적으로 담아낸 대표적인 시인이다.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 활동은 『문학예술』, 『겨레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