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병한2009陽明學우리나라 19세기 초ㆍ중반에 살았던 白雲 沈大允(1806?1872)은 평생 在野에 머물면서 經學과 歷史 공부에 전념하여 다량의 관련 저술을 남기고 있다. 백운의 학적 연원은 하곡 정제두의 양명학에 시초하여, 중국 청대 18세기 晥派의 巨匠으로서 반성리학자인 대진의 사상에 닿아 있을 뿐만 아니라, 백운보다 한 세대 앞서 살아간 茶山 丁若鏞(1762?1836)의 학적 체계와도 일련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
-
조정희2008본 논문은 근대 조선의 전환기 유길준의 개화사상이 지닌 내용과 성격을 중심으로 연구한 것이다. 그는 유학의 인본정신 입장에서 동도서기(東道西器)의 시각으로, 서양의 근대사상을 적극 수용함으로써 조선의 근대화를 이루고자 하였다. 이러한 그의 사상적 태도는 그의 이론 전체를 지탱하는 중요한 축을 이루고 있다. 특히 그가 당대의 개화 사상가들과 달리 전통적 가치관 위에 서구적 가치관을 아우르는‘중용(中庸)…
-
함병업2001작금의 사회 현실은 인간성 상실 현상이 매우 심화된 사회이다. 이러한 사회 상황에서 인간성 회복은 그 무엇보다도 중요한 과제일 것이다. 이런 필요성 하에, 이 논문은 다산의 인본주의 윤리 사상을 살펴보고, 이를 현대사회에서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인간성 상실의…
-
林在杓2001세계 역사를 보면 하나의 민족으로서 '자기의 삶', 즉 독자적인 민족의식, 민족정신, 민족문화를 가지지 못한 민족은 한때 정치적, 군사적으로 강성했던 나라였다고 해도 결국은 다른 민족에게 지배되거나 도태될 수 밖에 없었던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모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