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윤주2021史學硏究본 연구는 조선 초기의 외교문서, 비문, 악장, 실록 등에 건국 사실과 관련된 언급, 논쟁, 문장 등이 점차로 축적되면서 왕조 교체의 정당성을 마련해 갔던 과정을 살펴보았다. 우선 건국 초의 불안정한 대명관계 속에서 외교문서의 내용은 건국의 정당성을 피력하는 데 집중되었다. 특히, 요동 공벌에 대한 명의 의심을 불식시키기 위해 위화도회군에 대한 역사적 의미를 제고하였고, 태조 이성계가 이인임의 후사로…
-
하정승2021漢文學報14세기 고려 문단은 조선중기의 ‘穆陵盛世’와 버금갈 정도로 많은 작가와 의미 있는 작품들이 창작되어 문학사의 풍요를 가져다주었다. 그 중심에는 목은 이색을 중심으로 하는 소위 목은그룹이 존재한다. 본고에서 다룬 둔촌 이집은 목은그룹의 핵심인물이다. 목은그룹은 목은의 제자와 동료·후배그룹으로 양분되는데, 제자그룹은 다시 목은의 직접적인 제자와 재전제자로 구분되며, 대체로 목은이 과거시험을 主試했을 때…
-
송재혁2021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정도전은 조선건국 이후 편찬한 세 저작에서 인용한 자료를 명시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기존 연구에서는 그 이유에 대해 그가 신유학과 배치되는 사공학(事功學)의 유서(類書)들을 활용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그러나 그가 활용했으면서도 밝히지 않은 자료는 유서들뿐만이 아니다. 더불어 정도전이 활용한 유서들이 조선 초기 실록의 기록에 빈번하게 등장하고 있는 것으로 볼 때, 당시 유서의 활용이 신유학과 배치되…
-
정성식2020東洋古典硏究본 연구의 목적은 14세기 여말선초의 왕조교체기에 활동한 유학사상 가 정도전의 유교입국론을 고찰하는 데 있다. 고려 말 유학자들은 위화 도회군 이후 역사의식의 차이를 보임에 따라 보수와 혁신이라는 동원이 류적 양상으로 대립하였다. 정도전의 현실주의적 입장에서 바라보면, 고려 말의 시대 여건은 고 려조의 명맥을 부흥시킬 수 없을 정도로 매우 열악하였다. 국가 운영시 스템이 비정상화됨에 따라 사회 구조적…
-
인윈전2020아시아문화연구고려와 조선왕조, 시대를 넘나들며 파란만장한 생을 보낸 정도전은 예리한 정치적 후각으로 고려왕조의 멸망을 감지하고 이성계를 도와 조선왕조의 기틀을 마련했을 뿐만 아니라 그 여가를 타 문인으로서 적지 않은 한시도 썼다. 『동문선』에는 한시 20제 27수가 수록되어 있는데 이러한 시들은 정도전의 정치적 이상과 인격적 이상을 표현하는 데 이용되고 있는데 뜻이 크고 기백이 있으며 한 시대를 풍미하며 주름 잡…
-
엄연석2016泰東古典硏究본고는 여말 왕조교체기 학자들의 『주역(周易)』에 대한 이해가 어떤 역철학사적 특징을 가지는가를 경학과 경세론 사이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그리고 상수역학과 의리역학을 어느 정도 강조하는가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백문보(白文寶), 이색(李穡), 권근(權近)은 …
-
이원석2015泰東古典硏究본 연구는 유가 철학의 주요 존재론적 개념들을 선별한 후, 여말 유학자들이 그것을 어떻게 이해했는지 통시적․공시적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우리가 선별한 개념은 천(天), 도(道), 리(理), 그리고 기(氣)이다. 첫째, 천(天)에 대해, 이규보와 정포는 노장적 …
-
도현철2008泰東古典硏究정도전은 주자의 사서오경(四書五經)의 주석(註釋)을 받아들이고, 세계와 인간, 사회를 성리학의 리기(理氣), 태극(太極), 성정(性情)으로 설명하였다. 《대학》과 《중용》을 통하여 천도(天道)와 인도(人道)를 재확인하고 《논어》와 《맹자》를 통하여 유학의 경세…
-
이연희1993necessity of institutional reform in order to respond to the realistic situation of contemporary, political structure. Since such attitude is th…
-
이강렬1987三峯 鄭道傳 (1342 ?∼1398)은 麗末·鮮初, 王朝交替期를 살다간 人物이다. 14世紀 後半, 麗末의 社會는 內亂·外患이 絶頂에 다다라 高麗朝廷의 自體能力으로는 이미 수습할 단계가 지난 시기였다. 사상적으로도 종래의 고려사회를 理念的으로 지탱해 주던 佛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