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경민2021일본학본 논문에서는 1945년 패전 이후 미국에 의해 재조일본인들의 한반도 소재 사유재산이 몰수된 문제를 두고 조선통치 출신자의 대응 결과가 일본정부의 대일강화조약과 한일 국교정상화 교섭을 염두에 둔 대책 마련과 상호 관련성을 맺으며 하나의 지점으로 수렴되는 과정을 드러낸다. 거기서 산출된 식민통치 실적의 ‘숫자’와 관련된 국내보상 문제와 한일회담의 청구권 문제를 둘러싼 정치과정,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그 …
-
박경민2021民族文化硏究본 논문은 일제강점기 조선통치자가 해방 후 한일 양국관계의 근간인 한일 국교정상화 교섭을 어떻게 인식했었는지를 복원하는 데 일차적인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그들이 생각하기에 한일관계의 정상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원인은 무엇인지, 한일관계에서 일관되게 중요한 점은 무엇이었는지를 밝혀낸다. 아울러 이승만-기시 정권기 한일관계부터 주목해보면 과연 그들에게 한일회담에 대한 지속적인 영향력이 있었는지도…
-
남기정2020한국과 국제정치This article regards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since 2012 as a Cold War, and seeks its origins. The origin lies in Article 4 of th…
-
김웅희2016日本硏究論叢본고에서는 한일 과거사 갈등의 원점이 한일기본조약을 통해 매듭을 제대로 풀지 않은 채 미봉적인 타협이 모색되었다는 데서 기인한다고 하는 시각을 수용하면서도 한일회담 전반에 있어 국익의 충돌이 있었고 당시의 상황에서 최선을 다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는 주장도 균형 있게 평가한다. 이러한 입장에 서서 1965년 한일기본조약 체결의 배경과 주요 내용, 그리고 의의와 한계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
박진희2014史學硏究해방 후 한일회담 연구에서 한국과 일본 정부의 외교문서 이외 필수적으로 검토해야 하는 또 하나의 자료는 미국 정부 문서이다. 그동안의 한일관계 연구가 보여주었듯 한일관계는 양국관계 뿐 아니라 2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 미국의 동북아시아정책 속에서 한국, 일본, 미국이라는 3국관계 속에서 조망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미국은 강력한 중재를 통해 1951년 한일예비회담을 개최하게 만들었고, 이로써…
-
이현진2008東北亞歷史論叢This thesis analyzes the process of how the issue of claims between Korea and Japan following the liberalization of Korea was resolved in the f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