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숙희2022中國史硏究Historical journal resources like Namsaillok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time and space. Based on useful information in the historical resoarces…
-
스즈키 코키2021야외고고학본 쓰시마는 한반도와 열도 중간에 위치하여 고대부터 한일교류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 온 지역이다. 쓰시마에서 본격적인 고고학 조사가 시작된 것은 2차 세계대전 이후이며, 그 성과가 지금까지 한일 교류사를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연구사가 되었다. 일전에 필자는 쓰시마에서 출토된 스에키(須惠器) 및 도질토기를 통해 쓰시마 고분시대의 지배체계에 대해 살펴본 바가 있었다. 이번에는 기존 내용에 …
-
변남주2018한국학논총본 논문은 조선시기 제주 ‘관해로’와 관련하여 육지부 포구의 변화를 살펴본 것이다. 조선시대에 편찬된 지리지에서 언급한 육지부 출발포구는 모두 3곳(나주, 해남 삼촌포, 강진 군영포)으로 조선시기 내내 변경이 없다. 이런 지리지의 내용을 다른 기록에 나타나는 …
-
전종한2011문화 역사 지리이 연구는 그간 한국의 지역역사지리학 연구가 내륙의 특정 지역들에 편중되어 있었음을 지적하고 해양권이라는 새로운 유형의 지역권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고 탐구한 것이다. 또한 지리학계에서 근대이행기의 공간인식, 경관 변화, 지역구조의 재편에 대한 연구가 미흡했다…
-
김동철2010지방사와 지방문화조선후기 지방상업은 장시와 포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18세기 후반에는 전국에 1000여개나 분포할 정도로 장시는 일상적인 交易機構로 정착하였다. 장시는 한달에 6차례 열리는 5일장으로 보편화하였다. 5일마다 열리는 장시는 한 군현 내에 5개 정도 개설되었다. 5일장 체계는 군현의 규모에 따라 달랐다. 규모가 작은 기장지역에는 18~19세기에 장시가 邑內場과 佐村場 2개밖에 없었다. 포구는 ‘九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