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영대2022韓國古代史硏究In pre-modern warfare, the decisive target of attack was the castle. The siege warfare and the defense castle warfare were the core of the war an…
-
박민경2016한일관계사연구백제의 무왕은 즉위 후 대수외교를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이는 수의 고구려 원정의지를 이용하여 고구려를 견제한 후 신라와의 전쟁에 집중하고자 함이었다. 이러한 전략은 왜국과의 관계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이전과는 달리 왜국과의 관계에 적극성을 나타내지 않았던 것이다. 왜국은 고구려의 중개로 120여년 만에 다시 중국과 통교하였다. 백제는 왜국이 고구려와 밀착관계를 형성하고 게다가 수가 왜국에 사신…
-
朴雅林2012고구려발해연구2011년 몽골에서 최초로 발굴된 돌궐시대 벽화고분은 울란바토르에서 서쪽으로 3-4시간 거리의 볼간 아이막 바양노르 솜 지역의 올란헤렘(거란시대 토성) 주변에 위치한 쇼론 봄바가르 유적에서 발견되었다. 발굴은 2011년 7월~9월 사이에 몽골 사회과학원과 카자…
-
이재석2008한일관계사연구07년 검정 일본 고교 일본사교과서의 각 목차 부분에 나타나 있는 고대사의 서술 체계에 대하여 비교 검토해 본 결과 가장 인상적인 것은 ‘국가’와 ‘일본문화’의 성립과 전개를 기축으로 하여 일본 고대사가 설명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는 점이며 전체적으로 국가사의 입장이 각 교과서에 공통적으로 잘 드러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국가사의 맥락에서 본 고대사의 설명 논리를 간단히 정리하자면 다…
-
김은숙2007한일관계사연구본고는 고대 동아시아의 외교 교섭 과정을 수의 등장에서 백제의 멸망까지의 시기에 한정하여 당시의 해상 항로의 문제와 수, 당이 주변에 강요하였던 국제질서를 고려하면서 일본, 중국, 한국의 사료를 검토한 것이다. 그 결과 우선 지금까지 학계에서 널리 알려졌던 것과는 달리 백제와 고구려, 왜국의 비밀 군사 동맹 관계가 595년경에는 이미 성립하여 백제 멸망 이후까지 이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이 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