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진아2022人文科學硏究본 연구는 무속 고혼의례의 물질문화 중 고혼대상과 상징물을 논의대상으로 하여 그 역사적 배경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무속의 고혼의례는 조선시대 여제(厲祭)와 수륙재(水陸齋)의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 가정하여 전존(傳存)하는 조선시대부터 1930년대까지 문헌의 전거(典據)를 연구대상으로 살펴보았다. 고혼(孤魂)이란 불가항력적으로 비정상적인 죽음을 맞이한 사자(死者)를 말한다. 조선시대 고혼은 재…
-
신안식2021한국중세사연구This academic research presentation is an experiment to find out a priori how the disaster DB prepared by this research team can be utilized. Alt…
-
편용우2021일본학연구“祝/言(Celebration / Words)”, which premiered at the Aomori Museum of Art on October 11, 2013, is a play about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Jap…
-
이광형2021고전과 해석본고에서는 화진포 전설을 재난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각편에 나타난 재난과 공 동체의 대응 양상을 고찰해 보았다. 장자못 유형의 다른 각편과 대별되는 화진포 전설의 서사 구조의 특징은 며느리 의 석화와 고총서낭화이다. 이는 화진포 전설에 나타난 복합적인 재난, 즉 1차-홍 수로 인한 이화진 일가의 수몰, 2차-가족과 삶의 터전을 잃은 며느리의 심리적 재 난과 마을에 닥친 흉년과 전염병 같은 재난들에 대한…
-
고태우2020인문학연구이 글은 재난이 끊임없이 정치문제가 되었던 역사성을 고려하며, 사회재난이 본격화하고 근대과학이 수용되기 이전인 근대 이전 시기에 국한하여 한국에서의 재난 인식에 관한 연구 동향을 정리한 것이다. 먼저 재난 기록의 신빙성 문제가 제기된 과정을 살펴보며 여러 자료를 교차해 당대의 실상에 접근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어서 선행 연구에서 주목한 유교적 재이론(災異論)을 통해 한국 재난 인식의 시기별 양상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