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진아2022人文科學硏究본 연구는 무속 고혼의례의 물질문화 중 고혼대상과 상징물을 논의대상으로 하여 그 역사적 배경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무속의 고혼의례는 조선시대 여제(厲祭)와 수륙재(水陸齋)의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 가정하여 전존(傳存)하는 조선시대부터 1930년대까지 문헌의 전거(典據)를 연구대상으로 살펴보았다. 고혼(孤魂)이란 불가항력적으로 비정상적인 죽음을 맞이한 사자(死者)를 말한다. 조선시대 고혼은 재…
-
최명희2019홍산문화의 ‘十字紋’으로 바라본 은대 갑골문 ‘+’의 한국선도적 해석 본고는 은대 갑골문에 나타난 최고 신격을 탐색하고 신격의 의미를 은대의 선행문화인 홍산문화와의 계승관계 속에서 재해석하였다. 중국정부는 홍산문화로 대표되는 요서지역 신석기 문명을 중국…
-
황인규2019東洋古典硏究This paper is a study on the book of Oriental culture and Buddhist cultur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long with the founding of Joseon Dynasty…
-
최윤정2013한민족문화연구김기림을 비롯한 많은 논자들이 언급했듯이, ‘향토주의’는 백석 시의 대표적 경향이다. 본 논의는 백석의 ‘향토주의’가 단순한 표현이나 소재적차원이 아니라 백석 시의 기저를 이루는 정신성에 기인한 것이라 파악한다. 그 정신성은 우리 민족적 기원으로부터 전수된 것이기 때문에 우리는 백석 시를 읽을 때 향토적 친밀감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 백석 시에 배태되어 있는 ‘향토주의’를 떠받치고 있는…
-
김동규2012한국문화연구This article addresses an issue of how discourses on superstition in Korea, such as ‘Umsaron (Discourse on Licentious Ritual)’ during the Choson …
-
이안나2011한민족문화연구본 논문에서는 제주와 몽골의 돌 신체(神體)의 산육신적 양상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제주와 몽골의 포태와 산육신의 기능을 하는 신체의 특성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지역의 산육신으로서의 돌 신체는 자연신앙을 기반으로 만물에 영(정령)이 거한다는 애니미즘을…
-
최유경2011종교와 문화
-
홍순이2009한국무속은 오늘날까지 우리 민중의 삶 속에 변함없이 전승되어 오고 있는 우리 민족의 민간신앙이자 생활자체로서의 토대를 이루며 살아있는 우리 전통문화로서, 상고시대에서부터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사고의 현대사회에 이르기까지, 한국문화의 기본 흐름 속에 깊이 내재하여…
-
최종성2001
-
이은주1994Shamanism, among other elements, can not be left out in talking about formation of Korean spiritual world. This becomes evident as the ideology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