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영미2022한국현대문학연구This study focused on the locality of “Gaeseong(開城)” in Park Wan-seo’s literature and attempted to explain it with the historical development(thr…
-
신안식2021한국중세사연구This academic research presentation is an experiment to find out a priori how the disaster DB prepared by this research team can be utilized. Alt…
-
오세정2020고전과 해석본 논의는 충북의 전설을 중심으로 지역의 정체성, 즉 로컬리티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전설은 지역에 실존하거나 실존하였다고 믿는 증거물을 대상으로 형성된 이야기로, 해당 지역의 정체성을 포착하기에 최적의 텍스트라 할 수 있다. 충북지역을 실재구조, 관계구조, 상징구조의 세 차원으로 나누고, 각 구조를 잘 포착하여 드러낸 전설을 찾아 그 전설들이 충북지역에서 어떤 의미작용을 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실재…
-
손신영2020한국불교사연구귀신사에는 구전과 실재가 혼재되어 역사적 사실로 전해지는 부분이 적지 않다. 더구나 조선 말기에서야 ‘귀신사’ 라는 사명이 쓰이기 시작한 것으로 여겨져 왔으나, 고려시대에 이미 귀신사로 기록하였던 바가 확인된다. 조선말기에는 귀신사를 구신사(狗腎寺)라 칭하기도 했는데, 이는 ‘귀’를 ‘구’라 하는 지역 사투리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현재 소재를 알 수 없지만 14세기에 조성된 청동향완이 발견된 바…
-
송정숙2020한국기록관리학회지This study investigated Ulsan locality during Joseon by searching and analyzing various records related to the Ulsan port including old literatur…
-
임상민2017인문사회과학연구본고에서는 지금까지 한일 양국의 역사학자를 중심으로 연구되어 온 나가사키현(長 崎県) 소재의 대마도에 대해서, 일본 내의 마이너리티인 재일조선인은 어떻게 인식했는지에 대해서 분석했다. 특히, 최근 한국과 일본에서는 일본의 지역 항구도시 및 섬 등의 지역 문화를…
-
박경환2014한국도시지리학회지최근 도시지리학계에서 이분법적 접근을 극복하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우리는 ‘환경적인 것과 사회적인 것,’ ‘사실적인 것과 재현적인 것,’ ‘자연적인 것과 인위적인 것’과 같은 이분법적 상상에 노출되어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샌디에이고 주립대학…
-
노관범2014한국문화This paper will examine the local tradition of neo-Confucianism in Kaeseong in the late Joseon period. Kaeseong(開城), a major city in Joseon Korea…
-
이종희2013한국도시지리학회지This paper has been written for the ultimate end to clarify the usefulness of “place lens“ on the study of transnational migration and network, s…
-
조성산2013民族文化硏究성호학의 東國 인식 속에는 동국에서 태어나 동국에서 살아가는 사람이 가져 야 하는 동국의 지식정보라는 의미가담겨져 있었다. 여기에는 중국이라는 중심 성에 대조되는 ‘주변성’의 의미가 있었다. 하지만 그러한 가운데에서도 그들은 동 국에서 ‘중화’의 의미들을 찾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