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난수2022유교사상문화연구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by which the archetypal concept of ancient Korean thoughts started as thoughts from religion. The history of thou…
-
이난수2021陽明學‘풍류’는 식민지 근대에서 기획된 담론으로, 제국에 대한 순응과 저항 사이의 균열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다시 말해 식민지 조선이 제국 일본을 향한 전통의 회복과 저항을 위해 소환시킨 개념이 ‘풍류’였던 것이다. 신채호를 시작으로 ‘풍류’가 고유사상의 원형으로 등장하였고, 최남선ㆍ이능화ㆍ권상로를 통해 고유 신앙으로 범주가 확장되었다. 본고에서는 1920년대 이후 종교에 나타난 ‘풍류’를 살펴보았다. …
-
정인숙2012韓國 詩歌硏究일본 사행가사 〈유일록〉은 명치유신을 통해 근대화되기 시작한 19세기 후반 일본 도시의 풍경을 세밀히 담아낸 작품이다. 특히 개항을 통해 성장한 항만도시와 수도로서 특권화된 동경의 모습 등 명치시대 급변하는 도시의 동향이 잘 포착되어 있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본고에서는 근대 일본의 ``도시체험``이라는 측면에서 〈유일록〉을 다시 읽어보면서 국문시가 장르를 통한 사행 기록의 의미를 논의해 보고자 하였…
-
김소륜2011한국문화연구일제 강점기에 이루어진 ‘교육’은 일제가 조선인의 황국신민화(皇國臣民化)를 꾀하기 위해 선택한 효과적인 통치수단이었다. 국가는 교과서를 제작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지배 이데올로기를 주입하고, 가치관을 조정함으로써 국가가 요구하는 이상적인 국민을 양성해 내고자 욕망했기 때문이다. 특히 한 나라의 언어를 학습하는 과정은 대상 국가의 이데올로기를 학습하는 과정과 매우 긴밀한 관계를 갖는다. 그런 의미에서 당시…
-
곽승미2006한국문화연구한국의 근대 초기 교과서류와 신문·잡지의 기사 등은 서양에 대한 정보를 백과전서식으로 전달한다. 이들 기록물을 통해 근대화를 서구화와 동일시하였던 1920년대의 지식인들은 유학 등을 통해 서양을 직접 여행한 기록을 잡지에 게재함으로써 독자들로 하여금 정보와 체험을 대조하게 한다. 박승철의 유럽 기행문은 이러한 맥락에서 생산되었다. 박승철은 유럽행 선박에서 근대적 규율과 일상을 경험한 후, 아시아 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