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윤경2022한국 철학논집1980년대 이후부터 2000년대 이전까지 대표적인 한국도교의 연구 쟁점은 ‘도가 도교의 구별문제’, ‘한국도교의 자생설과 전래설을 둘러싼 신선사상의 원류문제’, ‘관방도교의 개념어 문제’ 등이었다. 2000년대 이후 한국도교의 연구 방향성은 크게 일곱 분야로 논의할 수 있다. 한국도교 기초자료 수집과 번역 연구, 발해 고려도교 연구, 조선시대 『?노자』?와 『?장자』? 주석서의 연구, ‘한국도교’의…
-
김종진2021大覺思想『조선불교총보(朝鮮佛敎叢報)』(총22호, 1917.3∼1921.1)는 삼십본산연합사무소에서 발행한 기관지로, 3.1운동 직전에 종간한 만해의 『유심』을 제외하면, 3.1운동 전후에 걸쳐 간행된 유일한 불교계 잡지다. 이 잡지는 친일인사들이 포진한 불교옹호회(佛敎 擁護會)와 직간접적인 관련을 맺으며 출발했으나, 잡지의 후반기에 당시 신진 불교 지식인이 다수 포함된 조선불교회(朝鮮佛敎會)와 불교청년회(佛…
-
이난수2021陽明學‘풍류’는 식민지 근대에서 기획된 담론으로, 제국에 대한 순응과 저항 사이의 균열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다시 말해 식민지 조선이 제국 일본을 향한 전통의 회복과 저항을 위해 소환시킨 개념이 ‘풍류’였던 것이다. 신채호를 시작으로 ‘풍류’가 고유사상의 원형으로 등장하였고, 최남선ㆍ이능화ㆍ권상로를 통해 고유 신앙으로 범주가 확장되었다. 본고에서는 1920년대 이후 종교에 나타난 ‘풍류’를 살펴보았다. …
-
김정경2008서강인문논총이 연구는 『조선무속고』를 대상으로 하여 그것이 무속이라는 학문적인 대상에 접근하는 방식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조선무속고』가 생산된 당대 인식체계의 일면을 읽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금까지 『조선무속고』는 문헌고증적 방법과 현장조사방법의 과도기적 단계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이능화의 인식체계에서 무속 자료가 문헌적 사실이냐 경험적 사실이냐는 그리 중요한 문제가 아니다. 이능화는 눈앞의 모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