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난수2022유교사상문화연구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by which the archetypal concept of ancient Korean thoughts started as thoughts from religion. The history of thou…
-
이난수2022東洋哲學硏究The issue of the archetype in Korean thought has been raised in earnest as it gets into the modern times. At that time, the archetype discourse w…
-
이난수2021陽明學‘풍류’는 식민지 근대에서 기획된 담론으로, 제국에 대한 순응과 저항 사이의 균열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다시 말해 식민지 조선이 제국 일본을 향한 전통의 회복과 저항을 위해 소환시킨 개념이 ‘풍류’였던 것이다. 신채호를 시작으로 ‘풍류’가 고유사상의 원형으로 등장하였고, 최남선ㆍ이능화ㆍ권상로를 통해 고유 신앙으로 범주가 확장되었다. 본고에서는 1920년대 이후 종교에 나타난 ‘풍류’를 살펴보았다. …
-
노경희2020韓國漢文學硏究본고는 고려 500년의 수도였던 개성이 ‘수도 개성’에서 조선 건국 이후 경기 지역의 하나인 ‘지방 개성’으로의 새로운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을 추적한 것이다. 특히 그 시기로 임란 이후 16세기 후반에서 17세기 전반기에 집중하였다. 조선 개국 이래 개성은 전 왕조의 수도, 곧 ‘구도(舊都)’의 이미지 속에서 새 왕조의 수도인 한양과 경쟁관계를 형성하는 한편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양가적인 이미지를…
-
박현정2019분청사기는 14세기경부터 16세기경까지 약 200년간 고려청자에서 조선백자로의 이행과정에서 만들어진 도자기이다. 본 연구는 분청사기 찻그릇의 다채로운 미(美)를 탐색하고 분청사기 찻그릇에 나타나는 미의식(美意識)의 근원을 탐구하는 것이다. 분청사기 찻그…
-
이재필2019대구경북연구This study aims at considering the idea of Hongik-Inkan as the basic spirit and cultural origin of Korean people, and reviewing the history of it…
-
정성미2015This research did not concentrate on music performance method, etc. by researching Hyangje julpungnyu, but intensively considered communication a…
-
김해철2015한 나라의 사상은 제 문화로서 드러나게 되므로 문화는 곧 인간의 정신을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 인간 정신의 도야를 본질로 하는 교육에서 문화는 교육의 목적이자 내용 및 방법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교육의 내용으로서 문화는 본질적으로 고유한 것이어야 한다. 본 논문은 교육의 핵심으로서 문화의 토대를 이루는 고유한 사상과 음악에 대한 철학적 ・ 미학적 고찰로서 풍류사상과 풍류음악의 의미를 구명하였다. …
-
정혜윤2014본 논문은 조선 후기 풍류적 여가문화의 특징을 신윤복 작품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작품 속에 내재되어 있는 반어적 풍자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 목적은 신윤복 작품에 내재되어 있는 창작 의도를 밝히고, 사회문화적 가치와 미술사적 가치를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
-
박주만2010본 연구는 우리 민족이 누린 멋의 문화이자 예술적 근원이 되는 풍류도의 기원과 사상적 배경을 바탕으로 한국인의 마의식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풍류의 개념을 고찰하고, 풍류음악에 나타난 예술적 특정을 통해 학교 국악교육의 함의와 방향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