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우락2006퇴계학과 유교문화본고는 이진상의 문학관을 살피는데서 출발했다. 그는 '直心'과 '明理'를 그 문학관의 기반으로 삼았으므로 부화한 수식을 배격하며 達意를 강조하게 된다. 이것은 성리학자들이 일반적으로 가진 문학론이기도 했다. 이진상 스스로는 그의 문학이 성글고 거칠다(踈而宕...
-
정우락2006퇴계학과 유교문화본고는 이진상의 문학관을 살피는데서 출발했다. 그는 '直心'과 '明理'를 그 문학관의 기반으로 삼았으므로 부화한 수식을 배격하며 達意를 강조하게 된다. 이것은 성리학자들이 일반적으로 가진 문학론이기도 했다. 이진상 스스로는 그의 문학이 성글고 거칠다(踈而宕)고 자평했다. 그는 활달한 문학적 기상이 있었으므로, '산수벽'과 '문자벽'을 동시에 지닐 수 있었다. 산수벽이 있었으므로 조선의 산수를 두루...
-
정우락2004退溪學과 韓國文化본고는 士林들의 사물인식에 대한 방법론에 입각하여, 임훈과 이황, 그리고 조식의 경우를 중심으로 16세기 사림파 작가들의 사물관과 문학정신 및 한국 한문학사에서 사림파의 사물관이 어떠한 추이로 전개되었는가 하는 문제를 탐구하기 위하여 마련되었다. 성리학자들...
-
정우락2004퇴계학과 유교문화본고는 士林들의 사물인식에 대한 방법론에 입각하여, 임훈과 이황, 그리고 조식의 경우를 중심으로 16세기 사림파 작가들의 사물관과 문학정신 및 한국 한문학사에서 사림파의 사물관이 어떠한 추이로 전개되었는가 하는 문제를 탐구하기 위하여 마련되었다. 성리학자들의 사물에 대한 인식방법은 대체로 셋으로 나누어서 이해할 수 있다. 즉물적 인식, 이념적 인식, 역사적 인식이 그것이다. 이는 모두 '자아-사물...
-
정우락2004退溪學과 韓國文化본고는 士林들의 사물인식에 대한 방법론에 입각하여, 임훈과 이황, 그리고 조식의 경우를 중심으로 16세기 사림파 작가들의 사물관과 문학정신 및 한국 한문학사에서 사림파의 사물관이 어떠한 추이로 전개되었는가 하는 문제를 탐구하기 위하여 마련되었다. 성리학자들의 사물에 대한 인식방법은 대체로 셋으로 나누어서 이해할 수 있다. 즉물적 인식, 이념적 인식, 역사적 인식이 그것이다. 이는 모두 '자아-사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