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호2018미술자료〈菊蝶圖〉는 여기화가였던 홍낙최가 그렸으며, 그의 맏형 홍낙성이 발문을 썼고 둘째 형 홍낙명이 화제를 짓고 셋째 형 홍낙삼이 화제 글씨를 쓴 작품이다. 사대부가의 네 형제가 함께 완성한 서화작품은 유례가 드물거니와, 이들이 18~19세기의 유력한 경화세족이었던 풍산 홍씨 가문의 일원이라는 점에서 문화사적 의미가 크다. 〈국접도〉는 1910년 이왕가미술관에서 구입하였던 작품으로, 현재의 족자는 입수...
-
조성산2013民族文化硏究성호학의 東國 인식 속에는 동국에서 태어나 동국에서 살아가는 사람이 가져 야 하는 동국의 지식정보라는 의미가담겨져 있었다. 여기에는 중국이라는 중심 성에 대조되는 ‘주변성’의 의미가 있었다. 하지만 그러한 가운데에서도 그들은 동 국에서 ‘중화’의 의미들을 ...
-
허권수2013淵民學志宜寧의 학문을 기록한 문헌은 비교적 늦게 나와 삼국시대나 고려시대의 학문을 상고할 자료가 없다. 의령은 조선 중기의 대학자 退溪 李滉와 南冥 曹植이 밀접한 관계를 맺은 특별한 고을이다. 의령에서 학문이 시작 된 것은 退溪와 南冥의 제자들로부터 비롯된다. 退溪와 南冥 兩門의 제자인 竹유 吳澐의 『竹유集』이 의령의 학자가 남긴 현존하는 최초의 文集이라 할 수 있다. 그와 거의 동시대 사람으로 남명의 ...
-
김봉곤2011古文書硏究조선 후기 호남사회는 16세기에 이어 17세기에도 己丑獄事 뿐만 아니라 중앙의 정치적 변화에 따라 李珥와 成渾의 文廟從祀, 禮訟 등에 관한 논쟁이 계속되었는데, 점차 西人과 老論의 우세속에 전개되어 갔다. 광주의 순천박씨 가문은 이러한 과정을 결정짓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광주의 순천박씨 가문은 17세기에 들어서 문중조직이 크게 성장하였다. 1660년대에 과거합격자를 다수 배출하면서 광주 入鄕祖에...
-
윤세순2011韓國 詩歌硏究본고에서는 노론계 경화사족인 유만주가 〈어부사시사〉와 〈만흥〉을 한역하게 된 사회적 배경과 개인적 배경, 그리고 한역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유만주는 18세기 중후반 경화사족이 시조를 향유하던 환경 속에서 성장하면서 자연스럽게 시조 한역을 하나의 취향으로 받아들일 수 있었다. 나아가 그의 자국어문학에 대한 남다른 애정과 자연경물에 대한 관심, 탈속의 경지를 동경하던 마음은 당파와 학맥을 벗어나 ...
-
지두환2009한국학논총文谷 金壽恒(1629~1689)은 인조 7년에 태어나 병자호란을 겪고, 효종 현종 숙종대 정치를 주도하였던 인물이다. 이때는 栗谷 李理(1536~1584)가 저술한 『성학집요』로 대표되는 조선성리학이 완성되던 시기로, 조선성리학 이념에 입각한 이상사회를 이루려는 사림들이 인조반정을 일으켜 예치를 추구하고 있었다. 당시 정치적으로는 산림을 경연관으로 삼는 경연정치가 발달하였고, 경제적으로는 이앙법 ...
-
조성산2008기전문화연구김창협은 훗날 낙론계의 종장으로 인식되면서 그의 사유는 노론 전반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김창협 학문의 형성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김상헌 ․ 송시열을 통해서 주자학과 의리학 학풍에, 나성두 ․ 조성기 ․ 이단상을 통하여 邵雍 象數學의 학문성향에, 중국...
-
조융희2008장서각이 논문에서는 조선후기에 '풍천(風泉)'이 조선 고유의 문학적 술어로 관습화되는 과정을 구명하였다. 『시경(詩經)』의 「비풍(匪風)」과 「하천(下泉)」을 축약하여 만들어진 '풍천'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은 조선이 명을 높이고 청을 배척하고자 하는 정치적 논리를 마련하는 가운데 탄생된 신조어였다. 이 술어에 대한 검토는 조선 특유의 역사적 국면이 문학적 전개 양상에 끼친 영향을 살펴보는 데 중요...
-
서정호2004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SeongSaSimJae Theory (性師心弟說)'in the history of Sung Confucianism, which is rega...
-
박정숙2003이 논문은 조선후기 중앙정계의 정치변동에 따른 향반의 생존전략과 이들의 사회지위 유지 과정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본고에서는 영산 신씨 가문의 언양 이거(移居)와 지역사회로의 펀입(編入) 과정을 알아보았다. 이를 토대로 조선후기 중앙정계의 정치변동에 따른...